d라이브러리
"표면"(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바짝 엎드려 다니도록 만들어야 하나요?A . 아니요. 오히려 반대로 로버의 바닥이 달 표면과 멀리 떨어지도록 만들었어요. 돌처럼 크고 작은 장애물을 만나도 그대로 통과할 수 있게 한 거죠. 그래야 장애물을 만났을 때도 로버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거든요. 이 높이를 ‘지상고’라고 하는데, ... ...
- [수학뉴스] 슈퍼컴으로 지구의 속살을 보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세밀한 진동을 기록합니다. 연구팀은 분석 결과를 이용해 지금껏 볼 수 없었던 지구 표면과 지구 중심 사이에 있는 맨틀(깊이 30~3000km)의 구조를 보여 주는 정확한 3차원 지도를 그렸습니다.연구팀은 지진파 진동을 이용해 지구의 껍질인 지각과 지구 외핵 사이의 구조를 3차원으로 나타냈습니다. ... ...
- 수성 탐사선 ‘메신저’ 편히 잠드소서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돌면서 총 27만7000여 장의 사진을 촬영했다. 수성의 근접 사진 덕에 수성의 자기장과 표면의 금속 구성, 화산 분화 활동 등이 새롭게 밝혀졌다. 2012년 11월에는 수성 북극에서 얼음과 유기화합물 층을 찾아내 수성의 극지방에 물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입증하기도 했다. 메신저호는 두 차례나 임무를 ...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직진운동을 하기 시작한다. 눈에 보이는 최초의 지점이다.플레어 - 표면 섬광 현상. 태양 표면의 특정 지역이 갑자기 밝아지는 현상이다.흑점 - 태양 광구에서 어두워 보이는 지점. 온도가 낮다. 하지만 이 지역이 온도가 낮은 것은 자기장이 매우 강하기 때문이다. 자기장 밀도에 비해 물질 밀도가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1000배나 높은 집광력과 분해능을 자랑할 것으로 보여요. 이건 무려 지상 4만km 높이에서 지표면에 있는 토끼 한 마리까지 볼 수 있는 성능이에요.NASA와 콜로레도대 연구팀은 올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아라고를 설계하기 시작했어요. 아라고가 완성되면 허블이나 제임스 웹이 보지 못한 우주를 볼 수 ...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이름을 얻었는데, 매우 무거운 활동성 은하핵으로 추측하고 있다. 준성이나 X선 발광성 표면의 중력은 대단히 강하기 때문에 일반상대성이론의 엄밀한 풀이가 꼭 필요했다. 미국 프린스턴대의 존 아치볼드 휠러의 연구팀과 영국의 허만 본디가 이끄는 연구팀은 일반상대성이론을 물리학계의 화두로 ... ...
- [과학뉴스] 날아오는 소행성 막기, 참 쉽죠!과학동아 l2015년 05호
- 25일 소행성궤도수정임무(ARM)의 상세 계획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주선을 소행성에 보내 표면 일부를 포획한 뒤, 그 상태로 소행성 주변을 돌면 소행성의 궤도를 바꿀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름 540m인 소행성 ‘이토가와’를 컴퓨터 시뮬레이션 한 결과, 60일 뒤부터 소행성의 궤도에 변화가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이끼가 필요한지 알아 보자. 이끼 하나가 덮을 수 있는 면적은 1cm² 남짓이다. 화성의 표면적은 1.47×10$^{8}$km²인데, 화성을 뒤덮으려면 1.47×10$^{18}$개 만큼의 이끼가 필요하다.이끼 하나가 한 시간에 생산할 수 있는 산소량은 3.25×10$^{-10}$kg 정도다. 따라서 화성을 뒤덮은 이끼밭이 만들어 내는 산소는 . ...
- [수학뉴스] 힘센 쪽이 이끄는 물방울 춤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액체 표면의 물 분자는 액체 내부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받는데, 공기와 만나는 표면적을 가장 작게 만들어 균형을 이루려는 힘을 말한다.코사인(cos) 값★ 예각을 낀 직각삼각형에서 빗변과 밑변의 길이 비. 코사인 60°는 한 각이 60°인 직각삼각형에서 60°인 각을 끼고 있는 밑변의 길이를 빗변의 ... ...
- [생활] 겉은 바삭~ 속은 촉촉~ 크루아상이 맛있는 비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의 비율로 섞어 반죽하면 맛있는 크루아상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크루아상의 표면이 바삭바삭하게 바스러질 수 있는 것은 빵이 종이보다 얇게 켜켜이 여러 층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손가락으로 잡아 살짝 당겨보면 한 층 한 층 벗겨진다. 어떻게 층마다 엉겨 붙지 않고 나눠져 있는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