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557건 검색되었습니다.
12월 1일 세계 에이즈의 날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
과학동아
l
2016.12.01
여성 119명의 질 내
미생물
군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프레보텔라 비비아(Prevotella bivia)라는
미생물
이 많으면 HIV에 감염될 위험이 13배 더 높았다. 연구팀은 프레보텔라 비비아가 리포다당류라고 부르는 염증 유발 분자를 방출해 HIV 감염 기회를 높인다고 추정했다. 또, 질 속에 HIV 살균제를 바른 뒤 어떤 ... ...
체르노빌에서 살아남은 ’효모’에 숨은 비밀
2016.11.30
저항성이 더 떨어졌다. 임 연구원은 “앞으로 BDR1 단백질의 원리는 방사선 저항성
미생물
을 이용한 환경 정화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29일자 '엠바이오(mBio)'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마법사 부럽지 않다… 과학자들의 신비한 실험동물
동아사이언스
l
2016.11.28
발표했다. 블랙스터 교수 연구팀은 노스캐롤라이나대 연구팀이 물곰의 장내에 있는 다른
미생물
유전자를 외부에서 온 유전자로 착각했다고 지적하면서 물곰의 강인한 생명력의 원천이 다시금 논란에 오르고 있다. 농림부에 따르면 2015년 한 해 동안 국내에서 쓰인 실험동물의 숫자는 250만700 ... ...
요요현상 남보다 빨리 오는 까닭은 ‘장내
미생물
’
2016.11.28
요요현상이 천천히 일어나는 쥐의 장에 이식했다. 장내
미생물
을 이식받은 쥐는 장내
미생물
의 원래 주인인 쥐와 요요현상이 비슷한 속도로 빨라졌다. 에리나브 교수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사람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얻는다면 비만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장내
미생물
이 건강에 영향 미치는 까닭 밝혔다
2016.11.24
장내
미생물
도 작은 크기의 지방산을 내놓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사람의 장내
미생물
이 비슷한 역할을 하는지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생명과학 학술지 ‘몰레큘러 셀(Molecular Cell)’ 23일자에 발표됐다. ... ...
식중독 균 경고하는 파란 빛
과학동아
l
2016.11.11
10월 12일자에 밝혔다. 미국 퍼듀대 식품과학과 브루스 애플게이트 교수팀은 특정
미생물
과 만나면 색이 변하는 바이러스를 이용해 음식에 대장균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음식에 들어있는 대장균은 몸속에서 식중독 같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연구팀은 새우에서 추출한 효소인 ... ...
연구실 기술을 시장으로… ‘랩 투 마켓’으로 바이오산업 육성”
2016.11.07
정책적인 도움과 사회적인 합의가 약해 발전이 느리다”고 분석했다. 예를 들어
미생물
의 유전자를 조작해 석유나 의약품 등 부가가치가 높은 물질을 생산하도록 만드는 ‘합성생물학’은 이미 그 실효성을 인정받고 있는 분야다. 그러나 개발 비용과 기간이 너무 커서 상용화로 이어지기 어려운 ... ...
“정밀도-안정성 월등… 현대 의료 한계 극복”
2016.11.04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기본 원리는 세균의 면역과정에서 나왔다. 사람은 체내에
미생물
이 침입하면 항체를 만들었다가, 다음 번 침입이 있을 경우 이를 이용해 면역반응을 일으켜 대응한다. 세균도 비슷한 대응체계를 갖고 있다. 세균도 바이러스로부터 공격을 받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자신을 ... ...
‘억’ 소리 나는 과학자들의 이사 풍경
2016.11.04
“물의 산도(pH)와 전기전도도 등을 이전과 같게 설정하고 개구리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미생물
이 자랄 수 있도록 각종 영양물질도 첨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구실 이사는 실험 결과를 좌우하는 중대한 문제다. 실제로 이사 때문에 실험 결과가 달라진 경우도 있다. 미국 컬럼비아대 상카르 고시 ... ...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6.11.02
수인성질환과 연구팀은 ‘국내 최초로 분리된 살모넬라 티렌에 의한 감염 예’(임상
미생물
학회지 2016, 19(1), 24-27)라는 논문에서 “야생동물과 특수반려동물은 심각한 동물원성 질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5세 미만 어린이나 임산부 등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특수반려동물과의 접촉을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