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생물"(으)로 총 1,61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대장균을 골랐다. 그런데 대장균은 이들 분자를 ‘먹지’ 않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해양미생물인 규조류의 뉴클레오티드삼인산운반체(NTT) 단백질의 유전자를 도입했다. 세포막을 가로지르며 놓여 있는 도넛 모양의 NTT는 플라스미드 복제 시 참여하는 염기의 형태인 5NAM과 5SICS의 데옥시삼인산 분자를 ... ...
- 바이오인공장기ㅣ“의사선생님, 제 장기는 새 것으로 교체해 주세요”동아사이언스 l2017.12.06
- 시험에 사용하고 있다. 박정규 서울대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장(현 서울대 미생물학교실 교수)은 “사람이든 동물이든 자궁 내에서는 균이 없다”며 “산도를 통해 외부로 나올 때 균에 노출되는 데 출산 전 어미 돼지의 자궁을 적출해 멸균된 통에 넣고 새끼를 무균환경에서 분만시킨다”고 ... ...
- 겨울 김장 김치, 맛있는 이유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7.11.30
- 넣는다”며 “이는 수확 시기에 따라 배추의 수분 및 고형분 함량이 다르고 이에 따라 미생물 분포, 맛 등도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다른 계절에 비해 가을과 겨울에 재배된 배추에 단백질, 지질, 유기산 등이 더 많이 포함된 것으로 보고돼 있다. 계절별로 김치를 구매한 직후 ... ...
- [카드뉴스] 많이 먹을 몸이 아니다 그런데 많이 먹는다동아사이언스 l2017.11.28
- 줄 수 있습니다. 섬유소(채소류)를 너무 많이 먹으면? 가용성 섬유소를 좋아하는 장내 미생물이 과도하게 발효를 일으켜 장 안에 메탄 가스가 급격히 많아집니다. 배가 꽉 찬 듯한 불쾌한 느낌과 메스꺼움이 동반됩니다. 먹어도 먹어도 배가 고프신가요? 그러나 우리의 몸은 지금의 엄청난 포식량을 ... ...
- [과학&기술의 최전선] 게놈해독 기술 3세대로 진화… 시장 선점위해 ‘합종연횡’동아사이언스 l2017.11.24
- 시험하는 단계다.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미생물 게놈 기업 ‘천랩’ 대표)는 “미생물 군집의 게놈을 해독할 때에 팩바이오를 많이 사용했는데, 최근 나노포어도 시험 중”이라며 “아직은 정밀도가 이슈지만, 장점이 많아 활용 여부를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 ...
- [과학&기술의 최전선] 게놈 해독도 오픈소스 바람 분다동아사이언스 l2017.11.17
- 있는 DNA마저 수백 개 염기서열 단위로 산산조각 나 있어 복원하기 까다롭다. 더구나 땅속 미생물이나 현생인류의 DNA로 오염돼 있어 목표로 하는 화석의 게놈을 구분하기도 어렵다.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연구원들이 2010년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을 최초로 해독했을 때 공개한 작업 ... ...
- [카드뉴스] 작지만 무시무시한 미세먼지의 습격동아사이언스 l2017.11.15
- 사람: 화장품 파우더의 미세한 입자, 담배를 피울 때 나오는 물질, 몸에 살고 있는 미생물과 바이러스, 피부에서 떨어져 나오는 각질도 미세먼지가 됩니다. 방향제, 향수, 살충제: 향이 나는 제품에는 들어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공기 중에 뿌리면 오존과 반응해 백혈병이나 폐암을 일으키는 ... ...
- 크리스퍼 가위 교정 식품이 식탁으로 들어온다동아사이언스 l2017.11.10
- 와인의 기본적 풍미는 포도가 결정한다. 여기에 포도의 당분을 알코올로 바꿔주는 미생물인 효모가 발효되며 내놓는 휘발성화합물(향기)이 얹어져 고유의 향을 이룬다. 같은 재료를 쓰더라도 와인의 풍미가 달라지는 건 효모의 상태가 달라서다. 벨기에 플랑드르생명공학연구소(VIB) 연구진은 ... ...
- 네이처, 희귀 피부병 치료 위한 줄기세포 이식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7.11.09
- 물집이 잡혔었고, 루르대 병원에 왔을 때는 황색포도상구균과 녹농균에 의한 미생물 감염까지 겹쳐 상태가 안 좋았다. ● 몸전체 피부의 80% 면적 ... 유전자변환 줄기세포 이식 성공 환자의 유전자를 확인한 결과 LAMB3 유전자에서 돌연변이가 확인됐다. 연구팀은 가족 동의와 규제당국에 허락을 ... ...
- 상처엔 꿰매지 말고 ‘엘라스틴’ 하세요과학동아 l2017.10.31
- 부위를 수술용 실이나 스테이플러로 봉합했다. 하지만 꿰매는 과정에서 상처 부위가 미생물에 감염될 위험이 있고, 심장이나 혈관처럼 근육이 끊임없이 움직이는 부위는 봉합한 부분이 회복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미국 노스이스턴대와 하버드대 의대 공동연구팀은 피부와 장기의 상처를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