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61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의 최전선]체액서 스스로 헤엄치며 목표 찾아…‘나노로봇’ 암치료 새 희망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레이저를 이용해 제작을 시도한 연구팀도 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김 교수팀은
미생물
인 박테리아의 꼬리(편모)를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편모는 대장균이나, 식중독 균의 일종인 살모넬라 등 박테리아의 끝에 달린 추진 기관으로 채찍같이 긴 모습이 특징이다. 편모는 모터와 비슷하게 생긴 ... ...
[짬짜면 과학 교실] 숲이 우선일까? 나무가 우선일까?
2017.12.23
옷소매로 눈물을 훔치는 소리를 내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베여 쓰러진 나무들은
미생물
들의 양분이 되어 세월과 함께 천천히 분해되기도 하지만, 더러는 땔감으로 사용되고 더러는 목재로 쓰여 다양한 가구나 도구가 됩니다. 가구나 도구가 된 나무는 사람 손에 죽어서도 폐기될 때까지는 사람을 ... ...
장내
미생물
이 알려주는 내 몸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7.12.22
장내
미생물
데이터를 계속 구축해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는 중”이라고 말했다. 장내
미생물
과 개인의 유전자를 분석해 건강 상태를 검사하는 ‘나를 위한 정밀의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 2018년 1월호 특집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과학동아 2018년 1월호 특집 ... ...
35억년 전 생명 탄생 증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생명체의 흔적이 아니라 지층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우연히 생긴 구조라고 주장했다.
미생물
처럼 보이는 구부러진 부분은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가 반응해 갑자기 굳어서 생긴 것이며, 생명체의 껍질처럼 보이는 것은 열수에서 배출된 흑연이라고 설명했다. 쇼프 교수의 이번 연구는 이 주장에 ... ...
알아두면 쓸데있는 고지방·고단백 식사법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교수는 “두개 논문을 통해 얻은 결론은 하나”라며 “식이섬유를 통해 좋은 장내
미생물
이 생활할 수 있도록 만들어줘야 신체 대사가 원할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7년 한해도 막차를 달리고 있다. 배가 부르면 연말 술자리도 빨리 지치는 법이다. 3차까지 이어지는 기나긴 술자리, 끝나는 그 ... ...
[카드뉴스] 박테리아 vs 항생제 내성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7.12.20
합성에 필요한 효소인 트랜스펩티데이스의 활성을 억제하는 카바페넴은 여러 종류의
미생물
을 막는 강력한 항생제였다. ▶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속 균종(CRE)’ 중 하나인 NMD-1은 카바페넴을 분해하는 효소를 지니고 있다. 카바페넴분해효소 유전자는 다른 균종으로 전파가 쉬워 문제가 되고 ... ...
7년 뒤 한국 바꿀 근미래 기술은 무엇?
동아사이언스
l
2017.12.19
뒤에 다시 문을 나선다. 일주일 전 건강검진 때 받은 혈액 바이오센서 검사와 체내
미생물
유전체 검사 결과가 나오는 날이다. 병원에 갈 필요는 없다. 의사와의 원격 상담이 기다리고 있으니까. 한국공학한림원은 2025년 한국을 바꿀 100대 미래 기술을 선정, 발표했다. - 한국공학한림원 제공 먼 ... ...
'DNA를 털실 삼아' 스웨터 뜨듯 만든 DNA 나노 평면 구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8
Science 제공 연구팀은 비슷한 방식으로 RNA를 이용한 구조물을 만드는 데에도 성공했다. 또
미생물
을 이용해 대량생산하는 방법도 개발해, 미래에 생체 안에서 움직이는 복잡한 나노 기계를 만드는 데 부품으로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 ...
[카드뉴스] 알고 보면 쓸데 있는 먼지의 재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12.14
크리스티안 고토프리프 에렌베르크에게 보내졌습니다. 에렌베르크는 현미경으로 작은
미생물
들을 관찰하고 분류했던 과학자입니다. 먼지 안에는 아주 작은 원생동물들과 식물들이 들어 있었습니다. 이 관찰 덕분에 먼지 속에 작은 생물들이 살고 있고, 이들이 매우 먼 곳까지 날아서 이동한다는 ... ...
이종장기이식 10년 내 상용화 문턱 넘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1
이식기술 개발사업을 이끌고 있는 박정규 바이오 이종장기개발사업단장(현 서울의대
미생물
학교실 교수)을 최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서울대 의과대 혜화동 캠퍼스에서 만났다. 박정규 바이오지종개발사업단장이 국내 이종장기이식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김진호 제공 그가 이끌고 있는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