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지
견해
입장
각도
방면
방향
시각
뉴스
"
관점
"(으)로 총 1,354건 검색되었습니다.
복잡한 사회를 만든 건 신이 아니었다
과학동아
l
2015.04.08
섬부터 남태평양의 이스터 섬까지) 오스트로네시아 문명의 사회 96개를 종교적인
관점
에서 분석했다. 연구팀은 종교를 ‘유일신 숭배’와 ‘초자연적인 힘에 대한 경외’로 분류했다. 그 결과 유일신을 숭배하는 현상은 정치적인 복잡성이 높아진 뒤에 등장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 ...
[미래를 듣는다 1] “낙후된 중소기업과 교육 살려야”
2015.03.22
경제를 강타하고 있다”면서 “저성장의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수출과 성장 지상주의의
관점
을 버리고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인본주의적 시각으로 교육과 기업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전 부총리는 17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제 1회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그와의 만남에 그녀는 수줍어 고개 숙였고… 그의 소심함에 그녀는 떠나가 버렸다 - ‘화양연화’ 왕가위 감독의 2000년 작품 ‘화양연화’는 간통을 소재로 하 ... 시선이나 평가에 너무 연연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물론 진화심리학
관점
에서 굉장히 어려운 일이겠지만). ...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바뀐 게 없는데도 말에 현혹돼 잘 속는 사람들에게 교훈을 주는 고사성어다. 합리성의
관점
에서 보면 물론 조삼모사는 수준 낮은 사기일 뿐이다. 그런데 정말 원숭이들의 저공의 말장난에 놀아난 것일까.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와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는 덧셈의 교환법칙(3+4=4+3)의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모르기 때문에 측정 전에는 결과에 대해 전혀 알 수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런
관점
에 따르면 양자역학의 기이한 결과는 자연이 원래 그래서가 아니라 우리가 아직 모르는 것이 있어서다. 1952년 데이비드 봄은 숨은 변수를 이용해 양자역학과 완전히 동일한 결과를 주는 고전역학적 이론을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저지른 일의 결과이다”라는
관점
이 득세했다. 손택은 “이처럼 터무니없고 위험한
관점
은 질병의 책임을 환자에게 덮어씌우는 짓”이라고 주장했다. 암은 유전자 변이의 질환으로 그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먼저 환경 요인으로 발암물질이나 자외선 등에 노출돼 세포의 DNA가 손상된 ... ...
양자를 훔친 악동들
2015.02.15
말했다고 한다. “대체 무슨 소린지 한마디도 모르겠네. 이 강연을 듣고 양자역학에 대한
관점
을 바꿀 사람은 하나도 없을 걸?” 이런 모호함 때문만은 아니었겠지만, 알버트 아인슈타인(1921년 노벨물리학상)도 보어가 주장하는 양자역학의 핵심 개념을 인정하지 않았다. 당시 양자역학을 여러모로 ... ...
성적 줄세우기 그만… 내신-수능 절대평가로 바꾸자
동아일보
l
2015.02.12
‘우수학생’의 정의를 새롭게 제시해야 한다”며 “대학이 하나의 잣대가 아닌 다양한
관점
에서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생을 뽑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 교수는 “정부는 획일적으로 대학을 규제하지 말고 대학은 자체적으로 특성화를 통해 성적에 따른 서열화 문제를 풀어야 ... ...
연보라-옥색도 ‘기본 색’ 될까
2015.02.08
것으로 나타났다. 두 단어는 전체 색 중에서 9, 10번째로 많이 쓰였다. 기본 색의 개념은
관점
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1가지 기본 색채어’가 많이 쓰이고 있다. 이는 1969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문화 인류학자 브렌트 베를린과 언어학자 폴 케이가 세계 100가지 언어를 분석해 ‘한 ... ...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2015.02.08
플랑크상수가 0이 아닌 이상 프랙탈이 될 수 없으므로 완벽한 카오스는 아니다. 이런
관점
에서 본다면 카오스는 실제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떤 물리학자들은 플랑크상수가 0으로 접근하는 것만으로 고전역학에 도달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결어긋남과 같은 양자측정이 있어야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