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지
견해
입장
각도
방면
방향
시각
뉴스
"
관점
"(으)로 총 1,389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
2015.06.29
즉 메틸화효소의 작용으로 시토신이 5mC로 바뀐 것이다. 시토신과 5mC는 유전정보의
관점
에서는 동일하지만 화학적으로 엄연히 다른 분자다. 그리고 이 차이가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친다. 모든 생명체에서 5mC가 존재하는 건 아니고 진핵생물, 그 가운데서도 특히 포유동물에 광범위하게 존재해 ... ...
[미래를 듣는다 15] “환경규제, 장기적으로는 지속가능한 발전 이끌 것”
2015.06.22
에너지 효율 모니터링 등도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 ‘포터 가설’의
관점
에서 볼 때 국내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시는지요. “우리 정부는 2009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2020년 배출 전망치 대비 30% 감축으로 정한 바 있습니다. 이 목표치가 지나치게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우리는 늘 제자리걸음을 할 것이다. ‘미생물과 숙주의 상호관계’라는 좀 더 넓은
관점
으로 사태를 바라봐야 한다는 카사데발 교수와 피로프스키 교수의 주장에 공감이 가는 이유다. ... ...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과학자도 창의성이 필요한 분야인데 왜 과학자들의 정신은 멀쩡한 걸까(물론 통계적인
관점
에서). 이에 대해 아놀드 루드비히는 책에서 그럴듯한 설명을 한다. 즉 예술은 개인의 개성이 중요하고 “자신들의 감정적 혼란으로부터 영감을 얻기 위해 내면으로 돌아서서 그것을 예술로 승화시킬 수”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여성과학기자, 세계적으로도 차별받고 있어
과학동아
l
2015.06.11
진행했다. 과학저널리즘 분야의 성차별이 주제였다.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지구적
관점
으로 본 성차별주의, 과학보도와 해결책’ 세션에 패널로 참석한 코니 세인트루이스 교수(왼쪽 끝)와 데보라 블룸 교수(왼쪽 세 번째) 등. - 세계과학기자대회 제공 데보라 교수는 최근 조사한 자료를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타이타닉호에서 생존률 가장 높은 위치는?”
2015.06.08
운영하는 시리즈인 ‘곤조 사이언티스트(Gonzo Scientist)’의 필자다. 그는 과학적인
관점
에서 문화와 예술을 분석한 에피소드를 지금까지 14편 게재했다. 과거 그는 가짜 논문에 대한 보도자료를 언론에 뿌리고 그것이 기사화되는 상황을 의도적으로 연출해 언론이 항상 진실만 보도하는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
과학동아
l
2015.05.28
물과 나무에 주렁주렁 매달린 과일 같은 환경은 아주 예외적인 경우다. 따라서 진화
관점
으로 볼 때, 어린 나이에 성급하게 위험한 자연으로 뛰어드는 것은 좋은 전략이 아니다. 오히려 자연을 두려워하는 게 생존에 더 유리하다. 안전한 마을 안에서 사냥과 사회적 기술을 익히며 미래를 준비하는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전체가 아니라 고세균의 특정 그룹과 자매분류군이라는 것. 쉽게 말해 분자진화의
관점
에서 진핵생물은 고세균의 부분집합이라는 말이다. 이에 따르면 과거 공통조상에서 세균과 고세균이 갈라진 뒤 고세균이 여러 집단으로 나뉘어 진화하던 중 한 집단에서 진핵생물이 등장한 것으로 시나리오가 ... ...
[청년드림]“IT강점 살려 해외취업 뜨는 직업 문 두드려라”
동아일보
l
2015.04.29
있도록 정부가 규제 완화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야 한다. 새로운 산업에 대해 부정적인
관점
에서 접근할 게 아니라 청년 일자리가 보장된다면 풀어 줘야 한다. 한번에 규제를 푸는 게 어렵다면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시범사업이라도 할 수 있게 해 줘야 한다. 정리=송충현 기자 balgun@donga.com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
2015.04.27
없다. 박쥐나 기름쏙독새는 소리(음파) 정보를 재구성해 주위 사물을 ‘본다’. 진화의
관점
에서 빛이 형태의 정보를 주는 매개체가 된 건 이차적인 일이다. 빛 자체의 유무를 판단하는 감각시스템이 먼저 생겨났을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멜라놉신 같은 빛수용체는 개구리 피부세포에서 처음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