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지
견해
입장
각도
방면
방향
시각
뉴스
"
관점
"(으)로 총 1,38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말 일취월장 사랑이, 생각도 한국식으로?
과학동아
l
2015.04.27
변하는 경향도 컸다. 모국어로 중국어를 쓰는 사람은 어려서 영어를 배울수록 자아이동
관점
으로 많이 이동한다. 언어가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는 강력한 증거다. 과학동아 제공 ● 사랑이 마음엔 두 사고체계가 있을까 한국어를 배우면서 사랑이에겐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이중언어 사용자 연구의 ... ...
‘멍 때리는 시간’이 필요한 과학적 이유
2015.04.19
행성B이오스 제공 ■ 가장 섹시한 동물이 살아남는다 (존 롱 著, 행성B이오스 刊) 기자는 한때 ‘나나’라는 강아지의 새끼를 얻기 위해 동물병원에서 교배를 시킨 적이 있 ... 참고하면 되기 때문이다. 8인의 저자는 여기에 기술 개발 이전에 숙고해야 할 철학적
관점
을 곁들였다. ... ...
“세상에 속지 않으려면 과학을 읽어라”
2015.04.14
처세술을 알려주는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대신 인문학과 과학을 융합한 새로운
관점
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보통 과학자는 자연을, 인문학자는 사람을 공부한다고 생각하기 마련이다. 사람과 자연을 분리한 이분법적인 사고가 오랫동안 지속됐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 교수는 ... ...
[열린 시선]컴퓨터 SW 교육, 청소년기부터 강화를
동아일보
l
2015.04.14
중심의 SW 산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갈수록 심화하고 있는 청년 실업 해소
관점
에서도 청소년 컴퓨터 SW 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청소년 컴퓨터 SW 교육이 성공적으로 추진돼 SW 산업이 미래 한국 경제의 핵심 축이 되길 기대한다. 최대영 유한대 경영정보과 교수 [화제의 ... ...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
2015.04.13
살충제가 널리 퍼지게 된 계기가 된 아이러니를 농약과 독성학의 역사라는 폭넓은
관점
에서 조명하고 있다. ‘(이런) 화학 하나하나를 볼 때마다 혐오감을 감출 수 없지만 그럴수록 화학을 더욱 사랑하는’ 필자이기에 2회에 걸쳐 해설과 서평이 다룬 내용을 소개하면서 화학이 나가야할 길을 ... ...
복잡한 사회를 만든 건 신이 아니었다
과학동아
l
2015.04.08
섬부터 남태평양의 이스터 섬까지) 오스트로네시아 문명의 사회 96개를 종교적인
관점
에서 분석했다. 연구팀은 종교를 ‘유일신 숭배’와 ‘초자연적인 힘에 대한 경외’로 분류했다. 그 결과 유일신을 숭배하는 현상은 정치적인 복잡성이 높아진 뒤에 등장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 ...
[미래를 듣는다 1] “낙후된 중소기업과 교육 살려야”
2015.03.22
경제를 강타하고 있다”면서 “저성장의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수출과 성장 지상주의의
관점
을 버리고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인본주의적 시각으로 교육과 기업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전 부총리는 17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제 1회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그와의 만남에 그녀는 수줍어 고개 숙였고… 그의 소심함에 그녀는 떠나가 버렸다 - ‘화양연화’ 왕가위 감독의 2000년 작품 ‘화양연화’는 간통을 소재로 하 ... 시선이나 평가에 너무 연연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물론 진화심리학
관점
에서 굉장히 어려운 일이겠지만). ...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바뀐 게 없는데도 말에 현혹돼 잘 속는 사람들에게 교훈을 주는 고사성어다. 합리성의
관점
에서 보면 물론 조삼모사는 수준 낮은 사기일 뿐이다. 그런데 정말 원숭이들의 저공의 말장난에 놀아난 것일까.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와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는 덧셈의 교환법칙(3+4=4+3)의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모르기 때문에 측정 전에는 결과에 대해 전혀 알 수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런
관점
에 따르면 양자역학의 기이한 결과는 자연이 원래 그래서가 아니라 우리가 아직 모르는 것이 있어서다. 1952년 데이비드 봄은 숨은 변수를 이용해 양자역학과 완전히 동일한 결과를 주는 고전역학적 이론을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