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지
견해
입장
각도
방면
방향
시각
뉴스
"
관점
"(으)로 총 1,389건 검색되었습니다.
어긋난 두 정의의 충돌… 배트맨과 슈퍼맨의 싸움
2016.04.03
배트맨의 역전승을 점치기 어렵다. 이 아이러니한 승부의 향방이 이 영화를 보는 또 다른
관점
이 아닐까. ●답이 없는 싸움, 영웅과 영웅의 대결 영화 속 ‘히어로’ 2~3명을 두고 누가 이기느냐고 갑론을박을 벌이는 모습은 초등학생 조카와 조카 친구 두세 명만 함께 불러 앉히면 언제든지 ... ...
따사로운 봄날에 ‘시월의 하늘’을 그린다
2016.04.02
대한 성찰로 깊어졌다. 일자리가 사라질 거라는 걱정에서 부의 재분배에 대한 새로운
관점
이 제기됐다. 기계의 인간 지배라는 시각에서부터 인간 삶의 변화를 아우르는 깊이 있는 미래 예측으로 이어졌다. 인공지능과 로봇이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간의 평균 노동시간은 줄 것이다. 스티븐 ... ...
인터넷에서 ‘광고’를 없앨 수 있을까?
2016.04.02
광고를 포기하고 다른 수익모델을 구축하는 게 절대 쉬운 일이 아니죠. 그리고 장기적인
관점
에서 보면 인터넷 이용자들과 플랫폼 제공자에게도 그다지 좋을 것이 없을 수 있어요. 수익모델이 망가지면 콘텐츠 제작사가 줄어들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사용자가 감상하고 즐길 콘텐츠가 줄어들겠지요. ... ...
피해의식과 강한 신념 그리고 집단의식이 테러를 만든다
2016.03.29
Altruistic joy(스스로의 이타적 생각/행동에서 오는 즐거움)에서 벗어나 냉정하게, 타인의
관점
에서 그들을 어떻게 돕는게 좋을지 생각해 보라고 조언하기도 했다. ‘이성’이 필요할 때다. ● 하나인 우리는 강하다? ‘우리는 하나다!’라는 메세지는 그 자체로 위험할 수 있다. 그 자체로 ... ...
‘칩 위의 실험실’ 더 정밀해졌다
2016.03.28
바이오칩에서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 교수는 “제어공학
관점
에서 미세유체를 조정해 바이오 연구에 기여하고자 연구를 시작했다”며 “랩온어칩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18일자에 ... ...
[배트맨 VS 슈퍼맨] 배트맨과 슈퍼맨, 이것이 다르다!
2016.03.25
속성, 가면 뒤에 감춰진 히어로와 빌런의 내면의 진실에 접근하고자 했던 팀버튼 감독의
관점
을 계승한 것이 다름 아닌 샘 레이미 였습니다. ● 고담의 숨은 권력자 배트맨 배트맨에 대해서 조금 더 깊이 알아볼까요? 배트맨은 은둔형 외톨이입니다. 집사 알프레도와 몇 명을 제외하면 그의 정체를 ... ...
인공지능에서는 ‘인간다움’이 주는 감동을 느낄 수 없다
2016.03.25
그리고 컴퓨터나 과학 쪽과는 거리가 먼 그림을 그리는 작가다. 그림을 그리는 예술가의
관점
으로 볼 때 이번 대국은 너무나 인간적이고 드라마틱한 대국으로 아름답게 마무리 되었다고 생각한다. 알파고는 현재 구글딥마인드에서 만든 슈퍼컴퓨터다. 1000여 년의 기보를 모조리 습득하고 대처하게 ... ...
30주년 맞은 美 SXSW 페스티벌
동아일보
l
2016.03.16
열린 트레이드 쇼(창의 기업 박람회)에서 한국 스타트업 기업들은 새로운
관점
을 보여줬다. 기술을 인간과 대치시키는 대신 가족애와 인간성 회복, 정서적 연결의 도구로 활용했다. 초점에 문화와 라이프스타일이 있었다. “팬과 가수가 함께 키우는 ‘아이유 화분’이 있다면 어떨까요.” ... ...
[Health&Beauty]“턱관절 통증 방치땐 우울증 동반 가능성”
동아일보
l
2016.02.24
정확히 알고 접근한다면 턱관절 질환은 결코 치료가 어려운 병이 아니다. 현대의학의
관점
에서 턱관절 질환에 대해 반드시 짚어봐야 할 문제는 크게 3가지다. 첫째, 턱관절 질환은 턱관절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턱관절을 움직이는 근육과 그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의 문제이다. 턱관절의 근육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이번 중력파의 근원인 블랙홀은 존재조차도 믿지 않았다. 즉 아인슈타인의 두 가지
관점
이 틀렸다는 걸 입증함으로써 그의 이론이 더 확고해진 셈이다. 아인슈타인의 입장에서는 ‘소실대탐(小失大貪)’이라고 할까. 라이고의 보도자료에서 알베르트아인슈타인여구소의 브루스 앨런 소장은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