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미분방정식 중에서도 더 풀기가 어려운 비선형 연립 편미분방정식이기 때문이다. 우선 편미분이라는 것은 독립변수가 하나가 아니라는 뜻이다. 시간과 공간의 좌표를 나타내는 4개의 독립변수가 있기 때문에 미분도 네 가지가 있고 이것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풀이로 구해야 하는 함수는 ... ...
- 에펠탑 보면 떠오르는 와인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사과로 만들 어졌다는 걸 알아채지 못한다고 해요. 그나마 사과는 80%나 맞추니 나은 편입니다. 맛 전문가인 최낙언 시 아스 이사는 "토마토는 50%, 오이나 양배추 주스는 10%도 맞추지 못한다"고 말해요. 청각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음식은 입이 아니라 귀 로 먹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음식을 먹을 ... ...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있는지 말해 줍니다. 만약 어떤 길이 무너질 확률이 70%라면, 그 길을 피해서 가는 편이 좋습니다. 험난한 미래를 확률로 내다보기 위해선, 먼저 어떤 길이 있는지부터 모두 파악해야 합니다.경우를 알아야지!주사위를 굴리면, 1에서 6까지 모두 여섯 가지 경우가 나옵니다. 이렇게 일어날 수 있는 모든 ...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사람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셈이다. 재료가 1L에 800만 원 정도로 비싼 편이지만, 네르프(NERV, 에바를 통제하는 UN산하 특수기구)처럼 돈 많은 조직이라면 별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만화에서 가장 현실성 있는 부분이다.양전자포 쏘려면 3×1010년 기다려야다른 만화 주인공과 달리 ... ...
- [Hot Issue] 뇌진탕 위험으로부터 미식축구 선수를 구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엄청난 충격이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뇌진탕의 기준이 되는 100G보다 큰 충격은 적은 편이라는 것이었다.그럼에도 미식축구는 현재 세계에서 뇌진탕 환자가 가장 많이 나오는 종목이다. 미국에서만 해마다 25만 건 이상이 발생하며 이 중 20%는 고등학교 리그에서 나온다. 문제는 이런 충격이 ... ...
- [Knowledge] 7전 8기,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아직은 일반상대성이론이라 부를 수 없었다. 1913년 8월 아인슈타인이 로렌츠에게 보낸 편지를 보면, 이런 타협에 대해 얼마나 불만족스러워 했는지 쉽게 짐작할 수 있다.“이 이론에 대한 제 믿음은 여전히 흔들리고 있습니다. … 우리가 얻은 중력장 방정식은 일반좌표변환에 대한 공변성(변환에도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포유류는 이런 원추세포를 2종류밖에 갖고 있지 않다. 이에 비하면 사람은 시각이 좋은 편이다. 총 100만 가지 이상의 색을 분리해낼 수 있다.그러나 새는 여기서 한 단계 더 나갔다. 새의 망막에는 빨강, 파랑, 초록빛 외에도 자외선을 흡수하는 광수용기가 한 종류 더 있다. 지난해 12월 11일자 ... ...
- [Fun] 상대성이론에서 전율을 느껴본 적 있나요?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울렸던 음악 한 곡. 손에서 떨어지지 않던 소설 한 편. 가슴에 날아와 박혔던 드라마 속 명대사…. 인생에서 각자 하나씩은 가지고 있는 기억일 것이다. 그런데, 혹시 그만큼 내 마음을 움직였던 ‘과학’은 없을까?이 책의 저자 에른스트 페터 피셔는 자연과학을 이해하는 일이 문학과 예술만큼 ... ...
-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설명하는 바닷가재의 헤엄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저으며 물속을 다닙니다. 하지만 몸이 무겁기 때문에 가벼운 새우보다 헤엄을 잘 치는 편은 아닙니다.야구장에서나 볼법한 파도타기 응원 방법으로 헤엄을 친다는 연구 결과가 화제입니다. 어떻게 그 능력을 알게 되었나요?헤엄다리가 꼬리 쪽으로 물을 밀어내면, 그 힘으로 제 몸은 앞으로 ... ...
- 자연이 빚은 아름다운 광물이 가득! 민자연사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광물 말고는 사람의 주의를 끌지 않아요. 하지만 민자연사연구소에 있는 광물은 그런 편견을 완전히 날려 보냈어요. 보석보다 아름답게 반짝이는 광물이 기자들의 눈을 사로잡았답니다.| 인터뷰 |“ 모든 광물이 있는 자연사박물관 만들 거예요!”Q 처음 광물을 수집하게 된 것은 언제인가요?1981년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