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수학은 자연 속에 이미 숨겨져 있는 법칙을 발견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수학에는 본질적으로 발명이란 없다. 여기에 단 한가지 예외가 있으니, 바 ...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근대 철학의 아버지이자 해석기하학의 창시자인 르네 데카르트는 “물리학의 모든 대상은 기하학으로 환원된다”고 했다. 기하학은 당시 사람들 ...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면의 넓이나 입체의 부피 등을 구하는 적분은 미분이 발명되기 훨씬 이전인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미분과는 별개의 학문으로 발달했다. 그런데 17세 ...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 ...
- [Life & Tech] 비만? 고기보다 음료수가 문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고루 갖춘 완벽한 식품”이라며 “더구나 우리나라 사람들은 아직 고기 섭취량이 많은 편에 속하지 않는다”라고 단호하게 말했다. 송 교수는 10~18세 여성이 고탄수화물 식사와 고지방 식사를 했을 때 고탄수화물 그룹이 혈중 중성지질 농도와 혈압이 더 높고, 좋은 콜레스테롤(HDL) 수준은 낮았다는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중심별을 돌고 있는 행성도 많다(태양계 행성처럼 궤도가 원인 행성이 오히려 드문 편이다).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다큐멘터리 ‘코스모스’의 에필로그에서 “우리는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종(種)으로서의 인류를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외계행성 탐사는 어쩌면 다른 생명체를 찾는 ...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2015년 10월 21일. 1985년 개봉한 영화 ‘백투더퓨처’에서 타임머신 자동차의 시계에 찍힌 날짜다. 당시 상상했던 30년 뒤의 미래가 바로 올해인 20 ... 과학과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며 동행하고 있다. 올 가을엔 위에서 소개한 영화나 소설을 한 편 잡아보자. 새로운 세계를 맛볼 수 있을 것이다 ...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프로그램이 요리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쿡방’ 열풍은 오히려 좀 늦게 온 편이죠.” 이 PD는 쿡방이 지나치게 많다는 불평에 “쿡방 열풍은 당연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재밌잖아요.” 쿡방이 인기를 끄는 이유에 대한 그의 대답은 간단했다. “음식을 만드는 것, 음식을 먹는 것에 ...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같은 이치”라며 “인간의 혀는 잘 속는 편이라 같은 소주라도 단맛을 첨가하면 마시기 편하게 느낀다”고 말했다. 시판 소주의 단맛은 소주를 보다 잘 삼키게끔 제조사에서 첨가하는 감미료 맛이다. 인공적인 과일 향은 알코올을 발효할때 생기는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숙시네이트 등에서 ...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수학동아 l2015년 08호
- 8명으로 시작했지만, 나중에는 단 4명만 남았다. 박 할머니도 그 중 한 명이다. 책꽂이 한 편에서 교재를 꺼내 보여 주면서 이렇게 말했다. “나한텐 이게 제일 보물이야. 벌써 첫 번째 책은 다 떨어졌고, 지금 이것도 다 뜯어져서 혹시 한 장이라도 잃어버릴까 봐 비닐에 싸놓은 거예요. 나를 위해서 세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않아?생각만으로 기계를 움직인다!최근 뇌의 특정 영역이 하는 역할을 알아내 몸이 불편한 사람을 돕는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어요. 실제로 2012년 12월,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앤드류 슈왈츠 교수팀은 팔과 다리를 움직이지 못하는 사람을 위한 로봇팔을 만들었어요.연구팀은 오른팔과 오른손의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