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작가의 꿈이 현실로! 이야기 만드는 소프트웨어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연구소와 엔씨소프트 문화재단이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공동 개발했다. 1450편의 영화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앞으로 이야기가 어떻게 전개될지 알려 준다.작가가 시나리오를 쓰기에 앞서 프로그램에 등장인물의 직업과 성격, 자라온 환경 등을 적는다. SF인지 추리인지 등 글의 장르를 ... ...
- “모든 변화는 잡지 한 권에서 시작됐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해요. 를 다 읽은 친구들이 잡지 내용을 토대로 퀴즈를 내서 교실 한편에 있는 퀴즈함에 넣는 거예요. 이렇게 모인 퀴즈 쪽지를 한 달에 한 번씩 꺼내서 반 아이들 모두가 함께 풀고 있지요.정 교사는 “함께 책을 읽고, 재미있는 퀴즈로 과학 지식까지 쌓을 수 있으니 그야말로 ‘1석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갑옷 같은 딱지날개로 몸단장을 한 너희도 이리 오너라. 모두 와서 나를 보호하고, 내 편이 되나 참고 견디면서 그대들을 관찰하고 있는지를, 그리고 얼마나 양심적으로 너희 행동을 기록하고 있는지를 말해 주렴. 그대들의 증언은 만장일치일 것이다(‘파브르 곤충기’ 중).”▼관련기사를 계속 ...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말했다. 지금은 선배 교수가 부정행위를 함께 하자고 해도 저항할 논리가 궁색한 형편이다.2. 연구부정을 감독할 정부산하 위원회를 만든다이인재 교수는 “정부산하 위원회를 만들어 연구부정 조사의 상급심으로 활용하자”고 제안한다. 현재는 연구부정행위가 생기면 각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560cc). 턱은 파란트로푸스 속보다 부드러웠고, 어금니는 후대의 호모 속 인류에 비해 작은 편이었다. 또 뒤 어금니일수록 크기가 증가했는데, 연구팀에 따르면 이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초기 호모 속의 특징이었다. 다리와 발은 호모 속의 특징이 분명해 두발 보행에 능했을 것으로 보였다.손은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때와 비교해 기분이 어떠냐고 김 연구원이 물었다. “처음 이 방에 들어왔을 때보다 훨씬 편안하고 즐겁다”고 답했지만 정량화된 비교 자료가 없어서인지 뭔가 석연치 않았다. 얼마나 정서적으로 안정이 됐는지 수치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냐고 묻자 김 연구원은 “치료법이나 치료 대상의 정서에 ... ...
- [과학뉴스] 논문 제목 짧을수록 인용 잘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영국 워릭대 에이드리언 레츠포드 교수는 2007년부터 2013년까지 발행된 논문 14만 편을 분석했다. 그 결과 같은 학술지에 실린 논문이라면 제목이 상대적으로 짧을수록 인용이 더 많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학술지마다 평균 인용 횟수가 다르고 제목을 정하는 규칙도 다르다는 점을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거지요.한편 청각은 사실 다른 감각에 비하면 맛에 끼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에요. 하지만 바삭바삭 부서지는 감자칩을 먹을 때만큼은 소리가 맛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요. 2008년 영국 옥스퍼드대 스펜스 교수는 바삭한 소리가 맛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했어요. 연구진은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정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GPS로 경도와 위도는 쉽게 알 수 있지만, 높이는 오차가 큰 편입니다. 그래서 레이저나 전파, 영상처럼 자신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는 장비를 조합해서 사용합니다. 두 가지 이상의 센서로 계산한 위치를 서로 비교해 가장 오차가 적은 값을 자신의 위치로 선택합니다.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아이디로 활동하는 동민수 형은 고3인데, 아이패드에다 개미 관련 논문 수백 편을 넣고 다녀요. 인천 계양산에 있는 개미를 조사해서 쓴 논문이 있는데…, 이거 보세요. 엄청 대단하지 않나요? ‘갈로아’라는 아이디로 활동하는 김도윤 형은 우리나라 최초로 신종 갈로아벌레를 채집해 연구한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