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식중독 바이러스가 면역력 높인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11월 19일 학술지 ‘네이처’에 이목을 끄는 논문 한 편이 실렸다. 제목을 그대로 번역하자면 다음과 같다. ‘장내 바이러스는 공생 박테리아의 유익한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An enteric virus can replace the beneficial function of commensal bacteria).’ 바이러스 전문가인 정용석 경희대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바이오이미징이 우리나라 먹여 살릴 겁니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논문도 조금씩 읽어보는 겁니다.Q 대학생활에 아쉬움이 남는 게 있다면공부를 아주 잘한 편은 아니었습니다. 특히 반도체 소자나 양자역학이 어려웠어요. 아이러니하게도 지금은 그쪽 분야를 연구하고 있지만요. 만약 그때로 돌아갈 수 있다면 다른 학과 수업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학부 수업이 ... ...
- [Hot Issue] 따뜻한 마음이 부른 폭력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낯선 이를 고려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앞서 보았듯이 내 주변이나 나와 같은 편인 사람들만을 향한 공감과 이타심은 종종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다. 누군가를 신실하게 아끼는 지극히 평범한 우리들이 추악한 폭력의 가해자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도착하자, 최 박사가 놀라운 말을 했다.“화성 유인탐사는 성공적이었어요. 그런데 한편에서는 정반대의 아이디어가 제기되고 있답니다.”정반대라니 무슨 말인지 몰라 어리둥절해 하자, 최 박사가 “큐브샛”이라고 말해줬다.큐브샛은 20세기 말 미국에서 개발된 초소형 위성이다. 가로, 세로, 높이 ... ...
- 낙지 VS 주꾸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된 거예요. 종류가 다른 게 아니라 덜 자란 낙지랍니다. 몸 전체 길이가 약 20cm로 작은 편이며, 다리에 달린 빨판의 힘도 아주 약하지요.주꾸미주꾸미도 낙지와 마찬가지로 연체동물에 속해요. 몸통 아래 머리가 있고 그 아래 여덟 개의 다리가 달려 있어, 언뜻 보면 낙지와 헷갈리기 쉬워요. 하지만 ...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거지요. 유럽인 중에는 아래턱이 덜 자라 얼굴이 작아 보이는 ‘무턱’도 많아요.한편 고기를 사냥해 구워먹거나 열매와 곤충을 먹었던 아프리카인들도 턱이 갸름하다고 해요. 그 대신 빨아먹는 식습관 때문에 입술이 두툼하게 발달했답니다.최근에는 사람들이 대륙을 넘어가 살기도 하고 다른 인종 ...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함께 연구했어요. 도둑갈매기는 남극의 매라고 불릴 정도로 난폭한 새입니다. 날개를 편 길이가 1.5m에 달할 정도로 크기도 하고요.그래서 둥지에 다가갈 때는 조심해야 합니다. 김 박사님도 처음에는 멋모르고 다가가다가 도둑갈매기에게 몸통박치기를 당한 적이 있다고 해요. 정신이 아찔할 정도로 ... ...
- Part 1 전통의 빅데이터, 족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임의그룹형성이 얼마나 정확한지 확인하기 위해 족보 데이터를 활용했다. 족보 10편을 골라 30년 단위로 나눠서 분석한 것이다. 족보에는 어떤 성씨의 여성이 언제 결혼했는지가 기록돼 있다. 여기서 전체 여성 수(M), 여성의 성씨 수(N), 가장 많은 성의 여성 수(Kmax)를 구해 임의그룹형성에 적용할 수 ... ...
-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1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불덩이에 속으로 던져 넣으며 기도하기 시작했다. 아주 거대한 블록버스터 영화를 한 편 보고 있다는 착각이 들 정도로 나는 분위기에 압도돼 있었다.이 일본의 겨울축제는 이후 일본에 대한 가장 강력한 기억으로 내 머리에 남아있게 되었다. 그날 저녁 묵고 있던 집의 주인 유코 씨에게 내가 본 ... ...
- [Knowledge] 방사능벨트가 지구 보호한다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프로브 위성 덕분에 인류는 다채로운 과학적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국제논문(SCI)만 147편에 달하지요. 가장 대표적인 성과로 2013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된 ‘세 번째 방사능 벨트 발견’을 꼽을 수 있습니다. 당시까지 방사능 외대는 하나로 알려져 있었는데, 에너지가 매우 높은 전자 영역(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