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광학"(으)로 총 24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장에서 위성 찍어내는 시대 여는 '차세대중형위성 1호' 20일 우주로동아사이언스 l2021.03.15
- 3.4t)보다 작지만 이 위성에는 497.8km 상공에서 지상의 가로세로 0.5m 물체를 식별하는 전자광학카메라가 달려있다. 이는 서 있는 사람 하나하나를 충분히 구분할 수 있는 정밀도다. ○민간주도 위성산업 신호탄 차세대중형위성 1호 발사는 국내 우주 산업이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전환되는 ... ...
- 한국 첫 소행성 탐사 타깃 ‘아포피스’ 지구 근방서 포착동아사이언스 l2021.03.11
- 곳까지 접근했다가 스쳐지나친 것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2월부터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 시스템(OWL-Net)’을 활용한 추적·관측을 통해 이달 10일 관측에 성공하고 영상을 공개했다. 소행성 아포피스는 지난 2004년 처음 발견된 후 지구 충돌 위협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된 천체다. 2029년 4월 ... ...
- 약 130억 광년 밖 초기 우주서 제트 내뿜는 퀘이사 관측연합뉴스 l2021.03.09
- 제트 현상을 보인다. P172+18는 지난 2015년 하와이 할레아칼라 천문대의 전천(全天) 탐사 광학 망원경인 '판-스타스'(Pan-STARRS)를 통해 가시광으로 처음 포착돼 퀘이사 후보에 올랐다. 이후 전파망원경 배열인 칼 G. 잰스키 초대형배열(VLA) 등을 통해 같은 위치에서 전파원이 확인됐으며, ESO의 ... ...
- 우주 보는 가장 큰 눈 ‘거대마젤란망원경’ 6번째 반사경 제작 착수…2029년 관측 목표동아사이언스 l2021.03.08
- GMT) 개념도. 천문연 제공. 인류 역사상 가장 먼 우주를 관측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광학망원경 ‘거대마젤란망원경’의 6번째 반사경 제작이 시작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천문연을 포함한 12개 글로벌 파트너 기관이 참여하는 ‘거대마젤란망원경기구(GMTO)’가 거대마젤란망원경(GMT)의 6번째 ... ...
- [표지로 읽는 과학]SAR 위성이 불러 올 ‘위성영상혁명’동아사이언스 l2021.02.28
- 쏜 뒤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를 합성해 영상으로 만든다.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광학카메라가 탑재된 위성은 구름이 끼어 있거나 한밤중에는 지상의 모습을 담을 수 없지만, SAR 위성은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24시간 촬영할 수 있다. 한국의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5호가 SAR 위성이다. 연구팀은 ... ...
- [과학게시판]과천과학관 전파망원경 프로그램 운영 개시 外동아사이언스 l2021.02.26
- KAIST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5년 KRISS에 입소해 초정밀 광학부품과 결상광학기기의 측정표준을 확립하고 고집적 반도체 공정용 초박막 광계측기술과 우주용 대구경 비구면 거울을 개발해 국내 광산업 선진화에 크게 공헌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국가 광과학 기술 로드맵 2030 발간, 산학연 ... ...
- 혈액 한 방울로 55분만에 감염여부 알려주는 스마트폰용 진단칩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21.02.26
- 병원균 감염 여부에 따라 혈액 속 백혈구의 흐름이 달라지는데, 칩에 혈액을 넣고 이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식이다. 조윤경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연성물질연구단 그룹리더팀은 지난해 5월 소변으로 병원균을 감지하는 미세유체칩을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엔지니어링’에 ... ...
- [과학게시판] 재료硏-서울대, ‘소재 콜로키엄’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1.02.19
- 이정환 한국재료연구원장이 19일 개최한 행사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한국재료연구원 제공 ■ 한국재료연구원은 19일 서울대와 함께 ‘소 ... 이용해 투명 망토, 음굴절 및 초박막 홀로그램, 컬러필터 등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여러 광학 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연구를 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 ...
- 신체 약자 위한 로봇의족·3D프린팅 임플란트 보급 연구 속도 낸다동아사이언스 l2021.02.18
- 세 기관은 향후 의료용 로봇, 진단 및 헬스 모니터링, 나노·3D 바이오프린팅 의료기술, 광학·플라즈마·소재 융합 등 첨단 의료기술 분야 연구협력을 비롯해 연구인력 교류, 시설과 장비, 학술 정보 공동 활용 협력을 추진한다. 기계연은 지난 2017년 충남대병원과 공동 연구과제 수행은 물론 연 ... ...
- [한 토막 과학상식]빛이 경계면 따라 흐르는 광스핀홀 효과란 무엇인가동아사이언스 l2021.02.16
- 빛알갱이(광자)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광스핀홀 효과는 빔 분할기나 필터 등 초소형 광학 소자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광스핀홀 효과 연구는 주로 이동하는 빛의 세기를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효율은 거의 고려하지 않았다. 광스핀홀을 증폭시킬수록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