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optics
기하광학
기하
물리광학
물리
스페셜
"
광학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 주름 전혀 없는 '무결점 그래핀'을 세계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26
그래핀의 성능을 낮추는 결함이 없는 완벽한 단결정 그래핀을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광학
현미경(왼쪽)과 전자현미경에서 결함이 전혀 없는 모습이 관찰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국내 연구팀이 접힘이나 주름이 없는 무결점 그래핀을 대면적 제조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꿈의 소재로 ... ...
대형 망원경 새 명당자리 '지구의 지붕' 티베트 고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0
3일에 한 번씩 밤하늘 전체를 관측할 수 있는 광시야 망원경과 지름 7m의 중국 최대
광학
망원경 등 7기의 관측시설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지난 6월에는 우주 쓰레기와 인공위성을 추적하는 다용도 관측 망원경 집합체 건설을 위한 착공식을 열였다. 현재 대부분의 대형 천체 망원경들은 지구의 ... ...
극대기 이틀 넘겨 시간당 200개 넘게 쏟아진 페르세우스 유성우…천문학자들 "이례적 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분석한 결과에서도 극대기가 14일 밤 나타났으며 ZHR이 210에 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광학
관측과 달리 전파 관측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유성우를 관찰할 수 있어 숫자가 더욱 정확하다. 과거에도 극대기 전후에 더 많은 유성우가 관측되는 사례는 있었지만 이번처럼 폭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액체 분자 하나까지 초고해상 촬영, 전기화학발광의 마술
동아사이언스
l
2021.08.14
교수는 이미 1990년대 분자 하나의 물리화학적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단분자 분
광학
기술을 개척해 단백질 구조 변화나 DNA 전사 등 세포 안을 들여다볼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이들 덕분에 연구자들은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세포 같은 아주 작은 분자 하나를 고해상도로 관찰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 ...
[랩큐멘터리] 귀에 들리지 않는 초음파 음악 작곡해 환자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1
현장에 제공하기 위해 오늘도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연구실은 최근 의료 진단에 쓰는
광학
장비와 초음파를 결합하기 위해 투명한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포스텍 초음파공학연구실 보기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 ...
과학자 UFO 찾아 나선다…미 하버드대 교수 ‘갈릴레오 프로젝트’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7.27
이용해 데이터를 분석할 계획이다. 로엡 교수는 2022년 칠레에서 가동 예정인 구경 8.4m의
광학
망원경 ‘LSST’가 작동을 시작하면 오무아무아 같은 성간 천체가 더 많이 발견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는 ‘사이언스’에 “최신 센서가 장착된 구경 1m 망원경을 1km 떨어진 물체에서 1mm 수준까지 자세히 ... ...
[표지로 읽는 과학]가속기 없이 만드는 강력한 방사광
동아사이언스
l
2021.07.24
레이저는 대규모 전용 시설에서만 활용할 수 있다. 중국과학원(CAS) 산하 ‘상하이
광학
및미세기계연구소(SIOM)’의 웬타오 왕 연구원 연구진은 대규모 가속기에서만 생성할 수 있는 X선 자유전자 레이저를 규모를 대폭 줄인 장비에서도 생성해 낼 수 있는 핵심 기술을 이번주 네이처에 발표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측정하는 순간 상태 바뀌는 까다로운 양자, 빛으로 붙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7
측정과 제어를 동시에 이뤄낸 것이다. 루카스 노보트니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ETH)
광학
연구소 연구원 팀도 이번 주 네이처에 양자 역학적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나노입자를 극저온과 초고진공 상태에 둬 나노입자의 양자역학적 상태를 바닥상태로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 ...
99.999% 고순도 불화수소 국산화, 그 뒤엔 기업-출연연 팀플레이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정보가 없이는 디스플레이 두께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웠지만, 표준연은 디스플레이의
광학
구조를 활용해 사전에 굴절률 정보 없이도 굴절률과 두께를 동시에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진종한 책임연구원은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 배터리 보호막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께를 ... ...
"첫 우주 교통사고가 연구의 꿈 되살렸죠"
동아사이언스
l
2021.07.09
감시하고 추적할 능력을 갖춘 국가는 미국 밖에 없다. 한국은 '아울넷'이라는 자체
광학
관측 시설로 한반도 상공의 우주물체를 감시하고 있지만 이 역시 미국에서 궤도 정보를 받아야 추적이 가능하다. 최은정 실장은 이달 1일 자신의 연구 경험을 토대로 우주 쓰레기에 관한 자세한 설명과 생각을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