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매체로 수많은 프로그램, 음악, 영화가 CD로 출시됐다. CD의 뒤를 이어 DVD, Blu-Ray 등 발전된 광학 매체가 등장했다. < 자기장 > 정보 밀도: 3.10×109bits/mm3 컴퓨터 과학자들은 20세기 초부터 자기장을 이용한 정보 저장 장치를 만들었다. 이중 가장 성공한 장치는 당시 컴퓨터 기업이었던 IBM이 1957년부터 .. ...
- [4컷만화] 우주에서 명중! 레이저로 통신 성공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 때문에 우주 과학자들은 전파에 비해 훨씬 압축된 레이저로 정보를 주고받는 심우주 광학 통신을 연구해 왔습니다. 레이저는 전파에 비해 폭이 매우 좁아 정확히 겨냥하기 어렵지만, 기존 우주 전파 통신보다 한 번에 10~100배 더 많은 자료를 보낼 수 있어요. 지구에서 계속 멀어지고 있는 ... ...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광륜’이라고도 불립니다. 브로켄 현상은 빛이 물방울을 지나며회절해 나타나는 대기광학 현상입니다. 회절은 파동이 장애물이나 장애물 사이의 틈을 지나며 그 주변으로 퍼지는 현상입니다. 태양 빛이 구름 사이 작은 틈으로 퍼져 나오는 걸 본 적이 있나요? 어딘가 성스러워 보이는 이 모습도 ... ...
- [과학사] 우리나라 첫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1호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1호는 중량 470kg, 높이 2.3m, 너비 1.3m, 길이 6.9m의 거대한 위성입니다. 아리랑 1호에는 전자 광학 카메라, 해양 관측 카메라, 이온층 측정기, 고에너지 입자 검출기 등 여러 장비가 탑재되었어요. 당초 3년간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던 아리랑 1호는 2007년까지 8년 동안 다양한 데이터를 지상으로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텔레픽스 스페이스랩 탐방기: 민간 우주 시대의 문을 열다기사 l20250829
- 작업자들은 방진복을 착용하고 미세한 오염도 방지한다. 광학 탑재체 성능 시험을 위한 암실에는 외부 진동을 차단하는 공기부양식 광학 테이블이 설치되어 최고 수준의 정밀도를 유지한다. 스페이스팹(Space FAB): 위성 부품 제작 공간이다. 이곳에서는 자동화 기계와 정밀 로봇이 활용되며, 공업용 다이아몬드를 사용하여 위성 거울을 깎 ...
- [우주기자단 현장미션] 인공위성도 눈, 귀, 뇌가 있어요기사 l20250723
- 자이로, 자기 토커, 방향 바꾸는 형인 반작용 휠 등이 있습니다. 배터리가 떨어지면 쉬고 태양열로 충전합니다. 인공위성의 '눈'은 광학카메라 입니다. 500km 거리를 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에서 서울에 있는 차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크기는 150~200cm 입니다. 통신장비는 '귀'와 비슷합니다. 지구에서 어디를 촬영 ...
- 최상현 연구원님! KAI가 뭐에요? (우주 기자단 아홉 번째 현장 미션)기사 l20250722
- 주셨습니다. 바로, 인체입니다.뼈대: 구조물 피부: 열 제어(MLI) 근육: 추진 시스템 혈액순환: 전력시스템뇌: 자세제어 시스템 눈: 광학 카메라 귀와 입: 통신장비 4. KAI의 인공위성이번 파트의 제목은 KAI의 인공위성 이었지만, 이번 파트는 시간이 모자라서 KAI의 소개영상으로 끝났습니다.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 ...
- KAI와 함께 탐험하는 우주의 신비: 인공위성, 우리의 미래를 열다!기사 l20250713
- 자세 제어 시스템 (AoCS): 위성의 방향을 잡아주는 '똑똑한 뇌'와 같습니다. 별 센서, 자이로, 반작용 휠 등이 이 역할을 수행합니다.광학 카메라: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보는 위성의 '눈'입니다.통신 장비: 우주와 지구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받는 위성의 '입과 귀' 역할을 합니다. 남극 세종기지에도 이러한 통신 장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인공위 ...
- 한국항공우주산업 최상현 연구원님 강의를 듣고기사 l20250712
- 안보일 때에 사용 한다고 하셨습니다. 우리의 눈은 광학탑재체와 비슷하다고 하셨습니다. 우리의 눈은 물체를 보는 데에 사용되고 광학탑재체는 사진을 찍을 때 사용돼 비슷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서울에서 제주도의 자동차 번호판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성능이 좋다고 하셨습니다. 저는 이번 강연을 통해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