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학
기하
뉴스
빛 쓰는 '광컴퓨터' 빛 볼까…속도 100배 향상 '광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양자컴퓨터와 함께 미래 컴퓨터로 주목받는 '광컴퓨터'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광소자가 개발됐다. 광컴퓨터란 빛을 이용해 정보를 처리하는 초고속, 초대용량 컴퓨터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양자컴퓨터와 함께 미래 컴퓨터로 주목받는 '광컴퓨터'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광소자가 개발됐다. ... ...
2025년 양자역학 100주년…눈앞에 다가온 양자컴·양자통신
동아사이언스
l
2024.12.30
구글의 105큐비트급 최신 초전도 양자 칩 '윌로우(Wiliow)'. 구글 퀀텀AI 제공 2025년 새해는 양자역학 탄생 100주년을 기념한 '세계 양자과학기술의 해(IYQ)'로 지정됐다. 현대물리학의 핵심 이론으로 여겨지는 양자역학이 정립된 지 100년 만에 양자역학 이론을 활용한 양자컴퓨터, 양자통신 기술 등이 빠 ... ...
[동물do감] 뼈보다 빨리 성장하는 피부, 악어의 독특한 비늘 패턴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광학 현미경으로 살펴본 악어 머리 부위의 피부가 기계적 과정으로 접히는 모습. 스위스 제네바대, G. Timin, M. C. Milinkovitch 제공 악어의 얼굴과 턱에 있는 독특한 비늘 패턴은 피부가 접히는 정밀한 기계적 과정에 의해 형성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통상 깃털이나 머리카락, 비늘과 같은 동물의 부 ... ...
10월 과학기술인상에 박문정…고분자 합성·제어 분야 개척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0월 수상자로 선정된 박문정 포스텍 화학과 교수. 포스텍 제공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0월 수상자로 박문정 포스텍 화학과 교수가 선정됐다. 고분자 합성 및 구조 분석에서 새로운 학문분야를 개척하고 연구의 새 패러다임을 제시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 과학기술정보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카이랄성이 형성한 나비넥타이 모양의 나노시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3.18
네이처 제공 이번주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카이랄성이 형성한 나비넥타이 모양의 나노시트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카이랄성은 왼손과 오른손처럼 구조와 모양이 똑같이 생겼지만 마치 거울에 비친 듯 대칭 모양을 하고 있어 서로 겹쳐질 수 없는 분자구조를 말한다. 자연계에서는 DNA나 단백질 아 ... ...
"첫 우주 교통사고가 연구의 꿈 되살렸죠"
동아사이언스
l
2021.07.09
최은정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연구실장이 6일 대전 유성구 천문연 우주위험감시센터에서 지구를 덮은 우주 쓰레기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모니터에 보이는 점이 지구를 뒤덮은 우주물체로 초록색이 모두 우주 쓰레기다. 대전=조승한 동아사이언스 기자 shinjsh@donga.com 2009년 2월 10일 미국의 ... ...
[소재의 미래]⑾최고 전문가들이 쌓은 고품질 데이터, 소재개발 플랫폼으로 이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7
한병찬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세계 수준의 성과를 내기 위해 설립한 10개 글로벌프론티어사업단 중 하나인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 미래소재연구단에서 소재 개발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역할을 맡고 있다. 남윤중 제공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는 일은 사막을 헤매 ... ...
[한 토막 과학상식]화학연 연구팀 세계 최초 발견한 '나노입자 광사태 현상'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나노 물질에 작은 빛 에너지를 쏘여주면 물질 내에서 빛이 증폭하며 더 큰 빛 에너지를 방출하는 ‘나노입자 광사태 현상’을 한국 연구진을 포함한 국제공동연구팀이 처음으로 발견했다. 빛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며 퍼져나가는 형태를 눈사태에 빗대 광사태 현상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네이처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아이돌 수학] 경배하라, 새로운 '수학돌'이 탄생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2009년 걸그룹 f(x)가 ‘KTX 타고 가면서 봐도’ 수학과 매우 유관한 그룹명으로 등장한 이래 아이돌-수학계는 늘 새로운 ‘수학돌’의 재림을 기다려왔다. 대형 그룹 BTS가 언뜻 ‘수학의 공식’이라는 가사로 수학돌의 냄새를 풍기는 듯했으나 ‘DNA’라는 제목으로 과학 철벽을 치며 애간장을 태웠다 ... ...
[화보] 세포vs 병원체 몸속 슈퍼히어로의 전투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Q 자기소개해주세요.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분자생물학자입니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와 럿거스대학교에서 컴퓨터그래픽과 시뮬레이션으로 생물학적인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고 있어요. 약 20년 동안 세포를 둘러싼 외부 환경과 세포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눈에 보이게 형상화하는 연구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흔히 역사를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로 나눕니다. 이 분류의 기준은 바로 ‘재료’예요. 당시 사람들이 사용하던 도구의 재료로 문명의 발달 정도를 나눈 거죠. 그만큼 재료는 인류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져 왔습니다.” 주영창 서울대 재료공학부 학부장은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몰리뉴의 물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광학을 연구하던 아일랜드 과학자 ‘윌리엄 몰리뉴’는 1688년 7월 7일, 철학자 존 로크에게 한 통의 편지를 보냈어요. 그 속엔 재미있는 질문이 있었지요. ‘태어날 때부터 앞을 보지 못하는 한 사람이 있었어. 그는 정육면체와 구를 만져서 구별할 수 있었지. 정육면체는 8개의 뾰족한 꼭짓점이 있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