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optics
기하광학
기하
물리광학
물리
스페셜
"
광학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와인 나라의 와인 과학자(19세기 생물학1)
2020.08.20
자연에는 화학식은 같지만 입체적인 분자구조가 거울대칭인 그런 물질들이 있어서
광학
적인 성질이 다르게 드러나기도 한다. 이것이 거울상 이성질체이다.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가 반반씩 섞여있는 그런 물질을 라세믹체(racemic body)라 하고 라세믹 타르타르산을 포도산이라 부르기도 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목성 대기에서 치는 새로운 번개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0.08.08
돌입해 마지막 대기 관측을 한 뒤 임무를 종료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주노에 탑재된
광학
카메라로 관측한 대기 표면 영상에서 이전에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작은 번개 현상을 발견했다. 목성 표면에 거대한 번개가 치고 있다는 사실은 1979년 NASA 탐사선 ‘보이저’에 의해 이미 발견돼 있었다. 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분
광학
, 천문학의 새 장을 열다
2020.08.06
도플러 효과가 아주 쓸모 있다. 이 또한 별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니까 분
광학
의 쓰임새란 참으로 대단하다. 20세기의 천문학자들은 별 뿐만 아니라 성운에서 나오는 빛의 스펙트럼을 조사해 성운의 움직임도 분석했다. 앞서 말했듯이 1920년대를 지나면서 우리가 성운이라고 알고 있던 ... ...
110억년 우주팽창의 역사 자세히 담은 새 3D 우주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알 수 있다. SDSS 소속 100여 명의 전세계 천체물리학자가 참여하는 확장바리온음향진동분
광학
탐사(eBOSS) 팀은 빛의 속도로 110억 년 가야 하는 먼 거리에 위치한 은하 200만 개를 관측했다. 바리온음향진동은 물질(바리온)과 빛이 아직 뒤섞여 있던 빅뱅 이후 38만 년 이전에 빛의 복사압으로 물질이 ... ...
우주산업 '압축성장' 아이콘 떠오른 UAE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주문해 두바이샛 두바이샛1호를 2009년 발사했다. 이후 역시 쎄트렉아이에
광학
지구관측위성 두바이샛2호를 2013년 주문해 발사하면서 위성 발사 경험을 쌓았다. 이후 UAE는 2018년 두바이샛2호와 거의 비슷한 외양의 정찰위성 칼리파샛을 쎄트렉아이와 공동개발 형태로 기술dmf 이전 받아 UAE 최초의 ... ...
소형 발사체 작은 거인 로켓랩 쓴잔 마셨지만 다시 '도전'
2020.07.07
가로 29cm, 세로 39cm, 높이 67cm 몸체에 캐논의 디지털일안반사식(DSLR) 카메라 EOS 5D마크3의
광학
계와 3720mm 초점 거리의 지름 40cm 망원경을 장착했다. 지상 600km 상공에서 가로세로 1m인 물체를 점으로 인식하는 해상도를 가진다. 무게는 35.5kg다. 캐논은 2017년 위성영상사업 계획을 발표하면서 2017년에 ... ...
해상도 100배 높은 차세대 QLED 프린팅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정연식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왼쪽)와 전덕영 명예교수. KAIST 제공. 차세대 퀀텀닷 LED(QLED) 기반 디스플레이 구현에 핵심 기술인 풀 컬러 퀀텀닷 패터닝 프 ... 구현이 가능할 것”이라며 “차세대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민감도가 높은 센서나
광학
소자에 응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지를 치며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빛
동아사이언스
l
2020.07.04
치는 듯한 현상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같은 방향으로 빛을 쏘는 것은
광학
분야에서는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시반 교수는 “이 현상은 전자에서 처음 발견된 현상이었다”이라며 “빛에서 또 다른 자연의 신기함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 ...
독자 기술로 제작한 대형 천체망원경, 광주과학관에서 일반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활용한 천체 망원경을 공급했다고 30일 밝혔다. 국내 제작 천체 망원경 중 최대 직경의
광학
거울 기술을 확보한 성과다. 천체 관측용 망원경은 대부분 반사거울을 이용한다. 거울의 지름이 클수록 천체에서 나오는 빛을 더 잘 모을 수 있어 어두운 별도 관측이 가능해진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 ...
'무거운 중성자별일까 가벼운 블랙홀일까' 중력파로 미지의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중력파 관측소에서 동시에 관측을 하면 충돌이 일어난 위치도 추정이 가능하며, 이 경우
광학
망원경이나 전파망원경을 통한 동시 관측을 통해 우주나 별의 진화를 밝힐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천체 신호를 통한 관측이라는 뜻에서 '다중신호 천문학'이라고 부른다. 라이고와 버고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