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닥
밑바닥
평지
밑면
저변
밑바탕
근본
뉴스
"
평면
"(으)로 총 369건 검색되었습니다.
포스텍 연구팀 메타물질 설계 소프트웨어 무료 배포
연합뉴스
l
2021.04.28
광 특성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메타물질을 이용한 초박막
평면
렌즈, 고해상도 홀로그램, 투명망토 등 새로운 광학기기를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전 세계적 관심을 받고 있다. 메타물질 설계에는 주로 유한차분 시간영역(FDTD, Finite-Difference Time-Domain method)에 기반한 상용 ... ...
[주말N수학] 펜로즈 타일과 대칭
2021.04.24
마름모만으로
평면
을 채워나가는 펜로즈 타일의 예시다. 어떻게 대칭이동을 해도 이
평면
을 규칙성 있게 다시 만들 수는 없다. 여담으로 옥스퍼드대 단과대학 중 하나인 워덤칼리지에 있는 야외 공간의 바닥 역시 펜로즈 타일로 이뤄져 있습니다. 이는 펜로즈 명예교수가 워덤칼리지의 교수이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이 우주의 속도제한, 그리고 E=mc²
2021.04.15
포함해 화가들이 공간을 해석하고 표현하는 데에 큰 영감을 주었다고 한다. 2차원
평면
에 3차원 공간의 정보를 모두 온전하게 담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입체파는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20세기 초반의 혁신적인 도전이었다. 입체파의 그림을 상대성이론의 언어로 말하자면, 보는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래핀 뛰어 넘는다는 '보로핀'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4
특징 중 하나는 나노 규모의 원자 구성이다. 그래핀 등 다른 2차원 물질은 매끄럽고 고른
평면
처럼 보이지만 보로핀은 붕소 원자가 서로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위아래로 구부러지는 골판지처럼 보인다. 튀어나온 돌기는 전기 전도도와 같은 물질의 성질에 크게 영향을 주게 된다. 연구팀은 ... ...
[랩큐멘터리]한국 반도체 기술의 청사진을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때문에 시뮬레이션 위주의 연구를 진행한다. 소자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소자의 모양이
평면
구조에서 3차원 형태로 바뀌고 있는데 이같은 구조의 변화에 따른 소자 성능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다. 미래소자회로연구실은 최근 반도체 산업에서 필요한 기술 중 가장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최신 ... ...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위성인터넷 기업 원웹과 823억 원 규모 안테나 공급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분야로 확장도 가능하다.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관계자는 “저비용 저궤도용
평면
안테나를 사실상 세계 최초로 양산하겠다는 의미”라며 “향후 100조 원 이상으로 추정되는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시장의 핵심 제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는 연간 20만 대 이상을 ... ...
대수기하학 난제 해결한 박진형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3.03
이런 대수다양체에 있는 k+1개의 점은 k차원에
평면
이 놓일 수 있는데 이런 k차원
평면
을 모은 것이 바로 'k차 시컨다양체'다. 수학자들은 약 100년 동안 시컨다양체의 성질을 연구해 왔다. 시컨다양체의 '특이점'의 기하학적 성질을 연구하는 것도 그 중 하나다. 특이점을 통해 시컨다양체 자체의 여러 ... ...
[사이언스N사피엔스]성당의 스팬드럴과 진화론
2021.02.18
펜던티브와 다른 점은 펜던티브가 3차원의 삼각곡면인 반면 스팬드럴은 2차원 삼각
평면
이다. 물론 펜던티브를 3차원 스팬드럴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근본적으로는 스팬드럴이든 펜던티브든 건축의 부산물이라는 점에서는 별반 다르지 않다. PNAS 제공 (출처 The exaptive excellence of spandrels as a term ... ...
공전주기1만 5000년 외계행성 존재… 태양계 9번째 행성 힌트 될까
과학동아
l
2021.01.12
거리가 멀수록 행성의 공전주기가 길다. 태양계의 경우 모든 행성들의 공전궤도가 한
평면
위에 있다. 하지만 HD 106906 b는 달랐다. 중심별인 쌍성계 근처에 있는 먼지구름이 이룬 원반과 HD 106906 b의 공전궤도가 틀어져 있었다. 연구팀은 HD 106906 b가 지구와 태양 거리의 3배 정도 되는 거리로 중심별에 ... ...
약 5만년전 경남 합천에 200m 운석이 떨어졌다…한반도 첫 충돌구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운석충돌시 발생하는 강력한 충격파 영향으로 만들어지는 86m 깊이와 142m 깊이의 석영 내
평면
변형구조이다. 평행하게 길게 늘어선 홈처럼 보이는 흰색 선들(붉은색 화살표 방향)을 볼 수 있다. 지질자원연구원 제공. 분지의 호수퇴적층 속에서 발견된 숯을 이용한 탄소연대측정 결과는 적중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