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닥
밑바닥
평지
밑면
저변
밑바탕
근본
뉴스
"
평면
"(으)로 총 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
2019.12.14
완전히 미해결입니다. 이 추측에서 t가 4 이하일 때는 매우 쉽게 증명됩니다. t=5일 때는
평면
그래프를 모두 포함하므로 4색 문제 역시 포함합니다. 더욱이 1937년 독일의 수학자 클라우스 와그너가 박사 졸업 논문에서 4색 문제가 참이면 마이너가 없는 그래프의 채색수는 4 이하라는 것을 증명해 t=5일 ... ...
[사이언스N사피엔스]토론 즐겼던 근대과학의 아버지
2019.12.12
따르면 강제적인 운동이 일어나려면 접촉기동자가 있어야 한다. 즉, 공이
평면
을 굴러가려면 사람이 계속 발로 차든지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굴러가던 공은 얼마지 않아 멈춘다. 갈릴레오의 사고실험은 아리스토텔레스가 틀렸다고 말하고 있다. 접촉기동자가 없어도 공은 계속 굴러간다! 이것이 ... ...
고분자 단백질 스스로 형성하는 ‘자기조립’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11
조정 가능하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렇게 합성된 단백질 자기조립체는 선형 또는
평면
형으로 조립됐을 때 고온에서 구조 및 기능이 안정하게 유지됐다. 고온에서도 효소의 고유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다양한 단백질 기반의 생촉매나 생체재료 합성에 필요한 ... ...
0.5nm 초박막 다이아몬드 제작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소재지만 구조가 많이 다르다. 1개의 탄소 원자가 주변 탄소 원자 4개와 결합해 있는데,
평면
으로는 이런 구조를 이룰 수 없어 마치 발가락이 하나 적은 닭발 모양의 입체 구조를 이룬다. 이 구조는 매우 안정적인 특성이 있어 단단하다. 이 때문에 그래핀의 구조를 변화시켜 얇으면서도 강한 ... ...
종이접기와 3D프린팅 합치니 태양전지 소자집적도 '쑥'
동아사이언스
l
2019.11.21
연결 플랫폼 기술을 3D 프린팅과 오리가미 기술을 활용해 개발 한 것”이라며 “2차원
평면
기반 소자가 갖는 한계를 극복해 유연한 태양전지 등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수명 늘고 안전성 확보한 ‘리튬 황 전지’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원하는 위치에 다양한 모양의 전지를 직접 제조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굴곡이 있는
평면
구조인 비행기 날개 위에 알파벳 형상의 리튬-황 전지를 제조해 성능을 테스트했다. 이상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고용량, 고안전성 전고체전지를 만드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다”며 “가위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케플러의 행성법칙
2019.10.31
초점거리보다 더 긴 실의 양끝을 각각 두 초점에 묶고 펜으로 실을 팽팽하게 당긴 채로
평면
위를 움직이면 된다. 원은 타원의 특수한 경우로서 타원의 두 초점이 일치하면 원이 된다. 독일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는 1605년 행성의 궤도가 타원이라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냈다. 위키피디아 제공 ... ...
서로 다른 물질 붙여 전류 방향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변화된다. 란타넘 산화물(위)와 스트론튬산화물(아래)의 경계면에는 전자가 2차원
평면
에 밀집해 모이게 된다. 이곳에서는 한 가지 소재만 존재할 때와 달리 전자의 스핀과 궤도운동량이 결부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여기에 외부 자기장을 가하면 스핀 에너지 상태가 변화하면서 특정 방향 전류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고대의 하늘
2019.09.19
각각 세 명씩 함께 만나서 토론하는 자리에 나간 적이 있었다. 원래 그 프로그램은 지구
평면
설의 허구성을 취재하던 중이었는데 이 주장을 펼치는 분들이 전문 과학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싶다고 해서 마련된 자리였다. 그날의 대화는 그다지 생산적이지 못했다. 그분들은 방송에서 과학자들과 만나 ... ...
뇌세포 수준에서 정밀하게 조직 관찰하는 3D 현미경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조직을 3차원으로 관찰할 수 있다. 빛을 이용해 가상의
평면
에 따라 층층이 관찰한 이미지를 찍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현미경을 개발한 파비엔 포크트 취리히대 뇌연구소 교수는 "이 현미경으로 층층이 찍은 이미지들을 쌓아 하나의 3차원 이미지로 결합할 수 있다"며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