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평면"(으)로 총 3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말N수학] 스도쿠의 세계수학동아 l2021.08.21
- 1976년에 컴퓨터 계산으로 증명됐습니다. 미국의 수학자 케네스 아펠과 볼프강 하켄은 평면에 나타낼 수 있는 모든 배열을 1936개의 조합으로 단순화한 뒤, 각각의 조합을 모두 네 가지 색으로 칠할 수 있음을 컴퓨터로 증명했습니다. ○ 스도쿠의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 2005년 영국의 수학자 ... ...
- 석유 고순도로 정제하는 저에너지·저탄소 기술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21.08.12
- 구조로 만들었다. 할로우 파이버 분리막은 적은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쉽고, 기존의 평면 구조 분리막보다 표면적이 수십 배 넓어 분리 효율이 높은 차세대 분리막으로 꼽힌다. 고 교수는 “우리나라는 원유를 수입한 뒤 이를 분리하고 정제해 다양한 고부가가치 제품을 만드는 석유화학 산업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목표하는 순간 더 멀어지는 것들2021.07.03
- 용이한 경우 이와 같은 접근법이 도움이 된다. 목표 위치와 나의 위치를 일직선 또는 평면 상에 정확히 표시할 수 있다면, 2차원 지도 같은 간단한 도구로도 얼마든지 적정 속도와 남아 있는 거리 계산을 정확하게 해낼 수 있는 법이다. 하지만 마음의 평화 얻기는 과제의 성격이 조금 다르다. 목표 ... ...
- AI 스스로 진화하는 능력을 터득하다동아사이언스 l2021.06.14
- ‘네이처’에 9일 발표했다. 컴퓨터 칩 설계는 손톱보다 작은 크기 실리콘 평면에 '매크로'라고 부르는 수천 개의 메모리 블록과 셀이라고 하는 수천만 개의 논리회로를 배치하는 과정이다. 작은 칩 안에서 셀과 매크로는 수십 km에 이르는 선으로 연결돼 있다. 셀과 매크로의 배치를 조정해 ... ...
- [주말N수학]샤이니 노래로 풀어본 슈퍼문, 지구와 짝사랑에 빠진 달의 공식수학동아 l2021.05.22
- 뜨면 지진이 일어난다는 주장은 틀렸다고 말한다. ○ 공전궤도와 타원 타원이란 평면 위의 움직이지 않는 두 점에서 거리의 합이 항상 같은 점들로 만들어지는 곡선을 뜻한다. 여기서 타원을 정의하는 기준이 되는 두 점을 ‘초점’이라고 한다. 그림(1)에서 F1와 F2가 초점이다. 타원에서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일반상대성이론의 성립2021.05.13
- 같이 생긴 표면에서는 평행선 공준을 만족하는 평행선을 수없이 많이 그릴 수 있다. 또한 평면에서는 삼각형을 그리면 그 내각의 합이 180도이지만, 구의 표면에서 삼각형을 그리면 그 내각의 합은 180도를 넘고, 말안장 표면에서 삼각형을 그리면 내각의 합이 180도보다 작다. 이런 비유클리드 ...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디스플레이 구동 가능한 OLED 전자섬유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1.05.12
- RGB 색상의 OLED 소자 구조를 설계하고 연구팀이 보유한 원천기술인 딥 코팅 공정을 활용해 평면 OLED 소자에 버금가는 수준의 OLED 전자섬유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와 함께 OLED 전자섬유 위에 직조된 주소 지정 체계를 구축하고 문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해 실제 입을 수 있는 기능성을 확인했다. ... ...
- 포스텍 연구팀 메타물질 설계 소프트웨어 무료 배포연합뉴스 l2021.04.28
- 광 특성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메타물질을 이용한 초박막 평면렌즈, 고해상도 홀로그램, 투명망토 등 새로운 광학기기를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전 세계적 관심을 받고 있다. 메타물질 설계에는 주로 유한차분 시간영역(FDTD, Finite-Difference Time-Domain method)에 기반한 상용 ... ...
- [주말N수학] 펜로즈 타일과 대칭2021.04.24
- 마름모만으로 평면을 채워나가는 펜로즈 타일의 예시다. 어떻게 대칭이동을 해도 이 평면을 규칙성 있게 다시 만들 수는 없다. 여담으로 옥스퍼드대 단과대학 중 하나인 워덤칼리지에 있는 야외 공간의 바닥 역시 펜로즈 타일로 이뤄져 있습니다. 이는 펜로즈 명예교수가 워덤칼리지의 교수이기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이 우주의 속도제한, 그리고 E=mc²2021.04.15
- 포함해 화가들이 공간을 해석하고 표현하는 데에 큰 영감을 주었다고 한다. 2차원 평면에 3차원 공간의 정보를 모두 온전하게 담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입체파는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20세기 초반의 혁신적인 도전이었다. 입체파의 그림을 상대성이론의 언어로 말하자면, 보는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