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상 인터뷰] 이런 머리로 날 수 있었을까? 큰머리 익룡!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익룡● 중 가장 헤어스타일이 특이하다는 친구를 만나러 왔어. 아, 저기 있군! 그런데 그 큰 머리로 비행이 가능한가요?●익룡 : 중생대에 살던 하늘을 나는 파충류. 공룡과는 다른 생물로 분류한다. 자기소개를 부탁해! 나는 ‘투판닥틸루스 나비간스’라는 익룡이야. 우리는 중생대 백악기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밸런스 스스로 조절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들여야 했는데, 디지털 세상은 언제든지 쉽게 바람을 이루어 주기 때문에 뇌 보상체계가 큰 혼란을 느낀다고 하지. 아래 QR을 찍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봐! 올바른 디지털 사용 방법은?! 디지털 밸런스 맞추기 위해 자기 조절 능력 키우기! 디지털 밸런스를 조절하는 데 계속 실패하면 각종 ... ...
- [기획] 우리나라 장내 미생물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장 속에 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는데, 이들이 인간의 노화, 질병, 정신 질환 등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져요. 전문은행을 짓기 위해 농식품부는 2년간 미생물 자원 7679주, 유전자원정보 1290건을 수집했어요. 마이크로바이옴 전문은행에는 아주 크고 차가운 냉동고가 설치될 거예요. ...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은하는 계속 가까워지고 있어요. 약 40억 년 후에는 두 은하가 충돌해 하나로 합쳐져 더 큰 타원은하가 될 거예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긴 시간 동안 상상할 수 없을 만큼 거대한 은하들이 합쳐지는 거죠. 두 은하가 합쳐지는 동안 우리가 사는 지구는 어떤 경험을 하게 될까요? 결국 두 은하가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어과동 실험 영상 다시 보기섭섭박사님은 종이의 힘자랑을 하나 더 소개하겠다고 큰 소리 쳤어요. 그러더니 두꺼운 공책 두 권을 들고 왔지요. 그리곤 두 공책의 낱장을 차근차근 한 장씩 겹쳐 쌓기 시작했어요. 그렇게 한 몸이 된 공책 두 권으로 사람을 들 수 있다고 호언장담한 섭섭박사님!“으쌰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할로윈 특집 우리 집 부엌에 귀신이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이스트 2큰술, 설탕 1큰술, 미지근한 물 2큰술을 병에 넣어 섞는다.➋ 미지근한 물을 채운 큰 그릇에 병을 넣어서 따뜻하게 해놓는다.➌ 풍선을 병 입구에 씌운다. ➍ 5분에 한 번씩 확인하면서, 풍선이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한다. 왜 이런 일이?>결과 : 저절로 풍선이 부풀어 오른다!풍선이 저절로 ... ...
- [4컷 만화] 카멜레온 같은 인공피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8월 10일,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팀은 주변 사물의 색에 따라 몸 색깔을 바꾸는 카멜레온 같은 인공피부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 최근 건축, 예술, 패션 등에도 널리 쓰이고 있다”며 “카멜레온 인공 피부는 여러 산업 분야에서 큰 공헌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
- [이달의 과학사] 1849년 9월 26일 ‘파블로프의 개’실험의 파블로프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소화 기관의 원리를 알아보는 실험을 합니다. 신체 구조가 사람과 비슷하고, 키우는 데 큰 비용이 들지 않았거든요. 그는 이 공로로 190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습니다.조건반사 실험은 노벨상 수상 이후에 시작되었습니다. 연구 도중 파블로프는 같은 먹이를 봐도 개마다 흘리는 침의 양이 다르다는 ... ...
- [기획] 황색망사먼지, 이렇게 똑똑하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계속해서 변하고 복잡한 환경에서 뇌가 없는 생물이 살아남는 데 학습과 기억 능력이 큰 도움을 줄 거예요.이런 황색망사먼지를 연구하며 단순한 생명체의 인지 능력에 관심이 생겼어요. 앞으로는 세포의 정보 처리 과정을 연구할 거예요. 궁극적으로 건강한 세포와 암세포 사이의 의사소통 능력 ... ...
- [파고캐고 지질학자]주왕산 정상이 평평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주왕산 정상까지의 고도 차이를 생각하면 예전에 주왕산 부근에서 엄청나게 큰 규모의 화산폭발이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지질학자들은 분화구에서 폭발해 나온 엄청난 양의 화산재가 화산의 옆면을 타고 흘러내려 무려 400m의 두께로 쌓였다고 추측합니다.이 화산재가 식으면서 주왕산을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