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퍼즐탐정 썰렁홈즈 SEASON4] 고양이 펫시터 '나애옹이 잇시옹'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고양이를 직접 만나러 가야겠어!”그래서 찾은 ‘나애옹이 잇시옹’! 고양이 펫시터계의 큰 손으로 불리는 ‘나애옹이 잇시옹’은 썰렁홈즈가 훌륭한 펫시터로 거듭날 수 있도록 실습을 시켜주기로 했다.“펫시터가 되면 온 세상 고양이가 내 고양이라옹. 오늘 의뢰받은 야옹이들을 만나러 가자옹 ... ...
- [통합과학 교과서] 무지개의 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그냥 돌리면 작용-반작용● 때문에 헬리콥터의 몸체가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요. 자칫 큰 사고가 날 수 있죠. 이 현상을 막기 위해서 헬리콥터의 꼬리에 ‘테일로터’를 달아요. 테일로터는 헬리콥터의 주요 날개와 몸체의 움직임에 맞춰 헬리콥터 몸체가 움직이지 않도록 반대로 프로펠러를 돌리는 ... ...
- [기획] 복잡한 세상! 어떻게 예측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1970년대에 개발했어요. 하셀만 연구원의 모델은 날씨와 화산 폭발, 인간 활동과 같은 큰 요인에 의해 생긴 변동을 모두 고려해 지구의 기후를 예측해요. 하셀만 연구원은 “온실가스와 태양의 과도한 활동, 화산활동 등과 같은 여러 요인은 기후에 특징적인 변화를 일으키며 ‘지문’과 같은 흔적을 ... ...
- [특집] 발자국 따라 1억 1000만 년 전 진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모습이 보입니다. 육식공룡인 수각류가 그 뒤를 쫓고 있어요. 용각류는 마치 코끼리처럼 큰 타원형의 발자국을, 수각류는 세 개의 발가락이 선명하게 보이는 발자국을 남깁니다.그런데 진주 호숫가에는 공룡 말고도 새, 개구리, 도마뱀 등 다양한 생물이 발자국을 남겼습니다. 그중 가장 눈에 띄는 ... ...
- [과학 뉴스] 달 착륙장, 즉석으로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우주선 착륙장을 만드는 데는 약 1400억 원이라는 큰 비용과 오랜 시간이 걸려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9월 22일 미국의 항공우주제조기업 마스튼우주센터는 비용도 줄이고 달에 즉석에서 빠르게 임시 우주선 착륙장을 만드는 방법을 발표했어요.착륙선이 달에 착륙하기 위해선 로켓에서 추진제를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보고 싶어서죠. 고대 로마인부터 현대인에 이르기까지, 거대한 피라미드는 오랫동안 큰 불가사의였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만들었는지 감이 잡히지 않아서죠. 이 영상에서는 피라미드 건설법에 대한 최근의 학설들을 소개합니다. 과연 흙으로 경사로를 쌓았을까요? 기중기를 썼을까요? 영상을 보면 ... ...
- [특집] 밝혀라! 어린이가 재난에 취약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아직 성장기라서 보호자 없이 재난에 노출되면, 더 큰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데요. 어린이가 재난에 더 취약한 이유, 무엇일까요? 재난이 오랫동안 어린이를 힘들게 만드는 이유 중 하나는 트라우마●예요.이성혜 포항지진트라우마센터 정신건강사회복지사는 “재난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 ...
- [가상 인터뷰] 활활~! 고온이 고세균 장수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RPS23 변이를 넣어 봤어. 그 결과 이들은 리보솜에 변화가 생겼음에도 단백질 합성에 큰 어려움이 없었고, 오히려 단백질 합성 과정에서 일어나는 실수가 줄기도 했어. 또한 고세균처럼 열에 강해졌고, 특히 초파리는 수명이 원래 약 50일에서 9%에서 23%까지 늘어났지. 또 RPS23 변이가 일어난 초파리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태풍 찾아 고향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꿀록 탐정은 그제야 모든 것을 알겠다는 듯 고개를 끄덕였어요. “그리고 북쪽 마녀가 큰 태풍을 찾으려면 저를 만나라고 말했겠군요. 잘 오셨습니다. 제가 바로 무슨 일이든 해결해 드리는 꿀록 탐정이죠!”도로시와 허수아비, 사자, 양철 나무꾼은 희망에 가득 찬 눈빛으로 꿀록 탐정을 ... ...
- [이달의 과학사] 통조림을 쉽게 여는 특허 나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우려가 없었으니까요. 통조림은 19세기 말이 되면서 널리 퍼집니다.그런데 통조림에는 큰 문제가 하나 있었습니다. 통조림을 열기가 너무 힘들었다는 점이죠. 발명 초기에는 여는 방법이 없어 칼이나 망치, 심지어 총 같은 험악한 도구로 열어야 했습니다. 깡통 따개는 통조림이 만들어지고 거의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