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d라이브러리
"
국내
"(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기발한 저온 공학 기술이 창업 아이템이 되기까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벤처 투자사인 선보엔젤파트너스와 MOU를 맺고 기술 창업을 적극 육성하기로 했다.
국내
대학 최초로 대학 내 지주회사를 설립한 선보엔젤파트너스가 UNIST에서 처음으로 투자할 대상이 바로 김 교수의 마취 기술이다. 김 교수는 “현재 초기(seed) 투자는 거의 완료된 상태고 올해 말부터는 개발에 ... ...
[지식] 게이머가 풀어야 할 대난제 랜덤박스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계급 욕심을 자극한다. 넥슨의 ‘메이플스토리’와 넷마블의 ‘세븐나이츠’ 같은
국내
RPG 게임은 해외 게임과 달리 레벨을 올리기가 매우 어렵다. 즉 레벨의 가치가 높다. 또 모바일 게임은 대부분 SNS 친구들의 순위 정보를 제공한다. 친구가 나를 추월하면 알려주기도 한다.이런 전략이 어디서나 ... ...
[포커스 뉴스] 우주 극한환경 만들어 물질 결정의 본모습 찾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ISS)에서는 단백질 구조를 명확히 밝혀 신약을 개발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국내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장치로 우주의 무중력환경을 만들어 수용액 속 초과포화상태의 물질 결정을 명확하게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비결은 분자를 공중에 띄우는 것이다.정전기로 분자를 띄운다지금까지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경상대 지질학과 교수는 기관과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다.실제로
국내
지질학자 중에서 정확히 ‘화산학(Volcanism)’을 전공한 학자는 거의 없다. 화산학으로 학위를 해도 취직할 데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뉴스에서 화산 관련 기사가 심심찮게 나오는데 비해 백두산 ... ...
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되는 사건과 결과가 되는 사건 사이의 시간차는 사건의 종류나 규모와 관련이 있다.최근
국내
외 연구는 프랙탈을 통해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밝혀내는 수준에만 머물지 않는다. 프랙탈을 활용해 질병을 조기에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을 찾아내려고 한다. 몸속 깊이 뿌리 내리고 있는 거대한 ... ...
[과학뉴스] 한강 발원지서 신종 ‘수질정화 미생물’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서식지로 가치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배양기술을 개발해
국내
담수 유용생물자원의 발굴과 기능성 생물소재 개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Intro. 백두산 폭발 대해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일본 북부 지방에서 백두산에서 폭발한 것으로 보이는 화산재층이 발견되면서부터다.
국내
에는 활동 중인 화산이 없다고 안심했던 사람들은 그 후, 백두산이 1000년 전 지구 전체에 기후변화를 가져올 정도의 큰 분출을 일으켰고, 폭발 주기가 약 100년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백두산의 마지막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이런 연구 기능 없이 말 그대로 종자를 저장하기만 한다. 씨드볼트 소속 연구원들은 향후
국내
야생식물 약 3000종을 자체적으로 수집하는 한편 해외 기관과 협약을 맺어 외국 야생식물의 종자를 보관하고 연구할 계획이다.고려대 야생자원식물종자은행 연구팀과 함께 종자의 수명을 예측하는 수학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이를 조사한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센터 수인성질환과 연구팀은 ‘
국내
최초로 분리된 살모넬라 티렌에 의한 감염 예’(임상미생물학회지 2016, 19(1), 24-27)라는 논문에서 “야생동물과 특수반려동물은 심각한 동물원성 질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5세 미만 어린이나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siRNA)’가 일으키는 RNA 간섭이다.두 작은 RNA는 현재 생명과학계의 ‘핫이슈’다.
국내
에서는 miRNA 분야의 대가인 김빛내리 교수가 유명세를 타면서 miRNA가 대중적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지만, siRNA는 신약개발과 산업계 응용에서 앞서가고 있다. siRNA로 만든 여러 신약 후보물질들이 현재 세계 곳곳에서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