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d라이브러리
"
국내
"(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거대도시건축학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거대도시건축학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바벨탑은 성경의 창세기에 등장하는 고대의 초거대건축물이다. 하늘에 닿을 정도로 높은 건물을 지으려고 했던 바빌론은 신의 노여움을 ... 거대도시건축학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PART 3. 거대 도시가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등 교통 계획의 새로운 기법을 알아봤다.지난 7월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되면서
국내
경전철 구간은 총 5개로 늘었다. 경전철은 수송인원이 버스와 중전철(기존 지하철)의 중간 정도이고 중전철에 비해 건설비가 저렴해 1990년 후반부터 각광을 받았다. 하지만 실제 운행이 시작된 이후 비판이 ... ...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진행됐다.올해는 상반기 과학기술계 최대 이슈인 인공지능을 심층적으로 다뤘다.
국내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전문가 4명의 강연을 ‘마스터클래스(Master Class)’로 묶어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를 집중 분석했다. ‘퓨처 클래스(Future Class)’에서도 중력파, 후성유전학, 화성 탐사 등 미래 기술이 우리 ... ...
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지금 이 위에 바다가 있는 게 맞나요?”영화처럼 투명한 해저터널에서 바닷속을 볼 수 있을거라 예상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이렇게까지 평범한 ‘터널 ...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PART 3. 거대 도시가 ... ...
[Tech & Fun] 운동 선수의 금지약물 복용, 효과 얼마나 지속될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2011년 10월에 열린 파나마 야구월드컵에 참가했다. 국가대표로 뽑힌 그는 대회를 앞둔 9월
국내
에서 도핑 검사를 받았고, 대회가 끝난 10월 말에 금지약물 복용 사실이 드러났다. 김재환이 복용한 약물은 스테로이드의 일종인 ‘1-테스토스테론’이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김재환에게 다음 시즌 1군 ... ...
[소프트웨어] 포켓몬 잡으러 GO 동해바다로 GO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그리고 포켓몬을 잡으러 나섰는데…. 실망스럽게도 허허벌판이 뜨는 게 아니겠어요?
국내
에 정식으로 출시된 게 아니라서 구글에 정확한 지형정보가 없기 때문이래요.허허벌판에서 갈 곳을 잃은 파이리 한 마리를 잡았습니다. 아무래도 실제 공간이 아니니 재미가 떨어지네요. 지금까지 이 게임은 ... ...
[Tech & Fun] 공포는 사람을 편협하게 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77.x). 기왕 해코지를 당하더라도 ‘아는 놈한테 당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국내
의 모든 문제를 이방인에게 돌리며 국경을 닫고 우리만 잘 살아보자는 극단적인 주장을 하는 한 정치인이 전세계적으로 인기다. 그런 이를 지지하는 사람들에게 당부하고 싶다. 정말로 무섭고 두려워해야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최고의 과학자와 직접 연구를 할 수 있다는 것도 UGRP의 장점이다.
국내
최고의 과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히며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을 맡고 있는 남홍길 뉴바이올로지전공 펠로우(세계적 수준의 교수에게 부여한 DGIST의 호칭)도 직접 UGRP과제를 돕고 있다. 남 펠로우는 “눈코 ... ...
[지식] 수학과 물리,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다!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KAIST 이지운 교수가 연구하는 ‘랜덤행렬이론’을 이용하면 구분할 수 있다. 이 교수는
국내
몇 안 되는 수리물리학자로, 인터뷰 내내 싱글벙글 웃는 모습으로 자신의 연구를 소개했다. 세상에는 재미있는 것이 너무 많아 한 가지에만 몰두할 수 없다는 이 교수를 먼지 한 톨 없이 너무나도 깨끗한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