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내"(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커스 뉴스] 원로의사 vs 닥터왓슨 환자들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접속해야 한다. 특정 사업자의 서버에 자료를 저장할 경우 환자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한 국내 의료법에 저촉될 수도 있다. 환자 개인정보가 불법으로 수집되고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보안정책에도 각별히 신경 써야할 것이다.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지난해 12월 29일 의료용 빅데이터와 ... ...
- [Issue] 범죄 피해자의 뇌 연결성 회복으로 치유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찾는다먼저 강력범죄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추적 조사를 하는 연구팀이 생겨났다. 국내에서는 류인균 이화여대 뇌융합과학연구원 교수팀이 2015년 이후 현재까지 강력범죄 피해자 300여 명을 대상으로 뇌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있다. 미국의 경우, 강력범죄 피해자는 아니지만 ... ...
- Part 3. 전염과 면역 사이 아슬아슬한 줄타기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전염이 일어난다고 가정하면 이종 간 전염 양상도 연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연구팀이 국내 데이터를 이용해 인플루엔자 확산 양상을 연구하는 데에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인플루엔자가 변화무쌍한 만큼 각 나라의 기후나 계절, 인구, 숙주가 될 수 있는 동물 종과 개체 수 등 여러 요인에 따라 ... ...
- [포커스 뉴스] 급격하게 퍼지는 AI 공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농가에서는 닭이나 오리, 달걀 등을 유통하지 못한다. 또 질병관리본부에서는 현재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모든 닭과 오리를 대상으로 AI 감염 여부를 검사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AI에 감염된 고기가 식탁에 오를 가능성은 낮다. 게다가 약 70℃에서는 30분 이상, 약 75℃에서는 5분 동안 가열하면 ... ...
- [Interview] 낙심한 물리학자, 귀인(貴人) 만나 ‘인생 역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코스털리츠 고등과학원 석학교수(사진)의 기자간담회가 서울 고등과학원에서 열렸다. 국내 연구 기관에 재직중인 과학자가 노벨상을 탄 것은 코스털리츠 교수가 첫 사례로, 그는 2004년부터 매년 두 달가량 한국에 머물며 연구하고 있다.좌절 속에서 피어난 꽃코스털리츠 교수의 노벨상 업적은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안부를 이렇게 간절히 궁금해하는 걸 들키기 싫었어요. 그저 건강하기를 바랐지요.국내에서의 취직이 실패해 호주의 해양생물학 연구소에서 일하다가, 프로젝트 때문에 배도 타다가, 귀국하여 과학관으로 오게 된 건 혜정 씨도 잘 아는 이야기죠. 네, 그동안 저는 기준 오빠를 만나지도 소식을 ... ...
- [과학뉴스] 빅데이터로 감영병 진단 빨라진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사람이 바이러스에 감염됐는지 진단하려면 지금까지는 시간이 많이 걸렸다. 그런데 국내 과학자들이 감염병 진단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해, 초기 발견까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됐다.구재형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와 김민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 연구팀은 빅데이터기술을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세계적으로 3진법 회로 설계를 연구하는 사람이 많지는 않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국내의 유일무이한 3진법 회로 설계 연구자다.“아직 갈 길이 멉니다. 3진법 소자가 개발된다 하더라도 이에 맞는 소프트웨어는 아직 이론적인 연구수준을 벗어나지 못했고, 시스템 단위의 아키텍처 설계 또한 ... ...
- [Editor’s Note] Future & Origin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과학을 만나는 ‘모션그래픽’과 ‘소리’ : 과학동아 기자와 전문 디자이너가 만나 국내 어디에서도 시도하지 못했던 과학 모션그래픽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편집장과 기자가 기사를 주제로 대화를 나누는 ‘에디터 토크’ 서비스도 준비 중입니다. 지면 밖에서 과학동아를 만나보세요.5 ... ...
- [과학뉴스] 마이크로파로 썼다 지우는 메모리 나올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국내 연구팀이 인공지능 컴퓨터를 위한 차세대 메모리소자를 개발하기 위한 길을 열었다. 이기진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마이크로파 하나만으로 강자성 물질의 성질을 조절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지울 방법을 고안했다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12월 14일자에 발표했다.기존 반도체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