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내"(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거대로봇 대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거대 로봇을 본 적이 있는가. 놀랍게도 어릴 적 꿈꿨던 거대 로봇이 나타났다! 미국과 일본, 그리고 국내에서 탄생한 로봇을 만나보자. ▼관련기사를 보시려면?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거대 로봇 ...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시제품으로 양산할 수 있는 시양산 시설 설립을 최근 정부에 제안했다. 김 부장은 “국내에서 MEMS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이 1990년대 초”라며 “드디어 때가 왔다”고 말했다 ... ...
- [Career] 시멘트 없이 콘크리트 만드는 과학 연금술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사에서 사업성이 높다는 긍정적인 평가로 투자도 받았다. 이 회사는 국내 4대 과학기술 특성화대(KAIST, UNIST, GIST, DGIST)가 기술을 이전한 업체를 지원하고 있다. 오 교수는 “단순한 기술 이전을 넘어 기술 ‘협력’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Unique Tip 진로불황이라고 알고 있는 것과 달리, ... ...
- [포커스 뉴스] 급격하게 퍼지는 AI 공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농가에서는 닭이나 오리, 달걀 등을 유통하지 못한다. 또 질병관리본부에서는 현재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모든 닭과 오리를 대상으로 AI 감염 여부를 검사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AI에 감염된 고기가 식탁에 오를 가능성은 낮다. 게다가 약 70℃에서는 30분 이상, 약 75℃에서는 5분 동안 가열하면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세계적으로 3진법 회로 설계를 연구하는 사람이 많지는 않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국내의 유일무이한 3진법 회로 설계 연구자다.“아직 갈 길이 멉니다. 3진법 소자가 개발된다 하더라도 이에 맞는 소프트웨어는 아직 이론적인 연구수준을 벗어나지 못했고, 시스템 단위의 아키텍처 설계 또한 ... ...
- [과학뉴스] 마이크로파로 썼다 지우는 메모리 나올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국내 연구팀이 인공지능 컴퓨터를 위한 차세대 메모리소자를 개발하기 위한 길을 열었다. 이기진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마이크로파 하나만으로 강자성 물질의 성질을 조절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지울 방법을 고안했다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12월 14일자에 발표했다.기존 반도체 ... ...
- [Editor’s Note] Future & Origin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과학을 만나는 ‘모션그래픽’과 ‘소리’ : 과학동아 기자와 전문 디자이너가 만나 국내 어디에서도 시도하지 못했던 과학 모션그래픽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편집장과 기자가 기사를 주제로 대화를 나누는 ‘에디터 토크’ 서비스도 준비 중입니다. 지면 밖에서 과학동아를 만나보세요.5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세계 곳곳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3진법 소자를 구현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선보인 따끈따끈한 연구 성과 세 편을 소개한다.불순물(도핑) 추가해 3가지 신호 만든다 김경록 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기존 2진법 소자의 구조 및 ...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오가는 항공기 수가 꾸준히 늘고 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글로벌디밍 현상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연구하는 전문가가 없다.그렇다면 다른 나라에서는 이에 대해 어떠한 대비를 하고 있을까. 해외 전문가들은 비행기 수가 많아지면서 비행기구름도 많아질 뿐만 ... ...
- [Interview] 낙심한 물리학자, 귀인(貴人) 만나 ‘인생 역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코스털리츠 고등과학원 석학교수(사진)의 기자간담회가 서울 고등과학원에서 열렸다. 국내 연구 기관에 재직중인 과학자가 노벨상을 탄 것은 코스털리츠 교수가 첫 사례로, 그는 2004년부터 매년 두 달가량 한국에 머물며 연구하고 있다.좌절 속에서 피어난 꽃코스털리츠 교수의 노벨상 업적은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