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동물"(으)로 총 1,47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2018.02.06
-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벌거숭이두더지쥐의 반감기를 언급하고 있다. 즉 늙지 않는 동물의 경우 최대수명은 의미가 없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대신 나이에 관계없이 사망률이 일정하다는 건 동위원소의 반감기와 같은 현상이다. 즉 각 개체가 언제 죽을지는 알 수 없지만 전체의 절반이 죽는데 걸리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먹이로 섭취한 결과일까. 사람으로 실험을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동물실험으로 확인하기로 했다. 먼저 treA 유전자를 없앤(따라서 트레할로스를 소화할 수 없는) RT027을 만든 뒤 생쥐에 감염시켜 유전자가 있는 RT027에 감염된 생쥐와 사망률을 비교했다. 생쥐들은 트레할로스가 5밀리몰농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2018.01.16
- 양쪽이 다 변이형인 실험동물과 여기에 Fancd2 유전자까지 고장 난 실험동물을 정상 동물과 비교한 것이므로 극단적인 상황이다. 그럼에도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서 Aldh2 변이형인 사람이 자주 알코올에 노출될, 즉 술을 마실 경우 DNA이중나선이 끊어지고 염색체가 비정상적으로 재구성돼 혈액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친구 없어! 나만 불행해! 라는 생각이 찾아올 때 2018.01.13
- 것이다. 하지만 쉬워 보이는 삶은 있어도 정말로 쉬운 삶은 없는 법이다. 사회적 동물로 태어난 이상 우리는 그 누구도 외로움, 소외감, 버림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 사람들로부터 받은 상처, 이별의 아픔, 미움과 시기, 오해, 갈등, 비교의 고통, 내 삶이 의미 없고 쓸모 없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안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2018.01.09
- 개)과 연합해 동족인 네안데르탈인을 몰아냈다. 그리고 뒤를 이어 이번엔 개가 이종동물(사람)과 연합해 동족인 늑대를 거의 절멸시켰다. 이처럼 각자 서로를 이용해 동족을 배반한 전력이 있기 때문에 오늘날 사람과 개가 이처럼 서로를 예외적인 존재로 여기며(채식주의자가 아닌 사람들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메가3 지방산, 몸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2017.12.27
- 있다. 2007년 학술지 ‘의약화학저널’에 sEH의 억제제 t-AUCB가 먹는 약물로 쓸 수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를 보고한 논문이 실렸지만 사람에 적용할 수 있을지는 아직 장담할 수 없다. 이번 연구결과는 건강문제를 다룰 때 ‘오메가3는 몸에 좋고 콜레스테롤은 몸에 안 좋다’는 식의 도식적 접근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2017.12.19
- 들어가는 작업이라는 걸 생각하면 그럴듯한 현상이다. 한편 Rac1은 사람을 포함한 척추동물에도 있는 단백질이다. 그렇다면 사람에서도 비슷한 망각 메커니즘이 작동할까? 이에 대해서는 아직 실험적으로 증명이 되지 않았지만 게놈분석연구결과 Rac1 유전자가 자폐 관련 질환과 연관돼 있다는 증거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2017.12.12
- 임상에 적용돼 효과를 볼지는 아직 미지수다. 예를 들어 지난 2014년 ‘젊은 피’ 회춘 동물실험이 화제가 됐다. 즉 젊은 쥐의 피 또는 혈장을 늙은 쥐에게 공급할 경우 늙은 쥐가 심신의 젊음을 회복한다는 여러 연구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이해 말 30세 미만의 젊은이의 혈장을 50세 이상인 ... ...
- 플라나리아 무한 재생의 비밀 밝혔다동아사이언스 l2017.12.03
- 논문으로 선정됐다. 네이처 제공 플라나리아는 몸길이가 10㎜ 밖에 안되는 아주 작은 동물로, 무한에 가까운 재생 능력으로 잘 알려져 있다. 칼로 반으로 자르면 머리 쪽에서는 꼬리가 만들어지고, 꼬리쪽 조각에서는 머리가 만들어지면서 개체 2개로 변한다. 128조각으로 자른 경우에도 각 조각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2017.11.21
- 그런 작용을 하는 약물을 찾았고 구충제인 이버멕틴이 걸렸다. 원래 이버멕틴은 무척추동물(기생충)의 신경세포와 근육세포의 막에 있는 염소이온 통로단백질에 달라붙어 통로를 열어 신경신호전달을 차단해 근육을 마비시켜 작용한다. 그런데 KPNB1 단백질에도 달라붙어 그 작용을 방해한 것이다.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