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동물"(으)로 총 1,4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2017.02.21
- 유전자와 비교해 식충식물의 수렴진화 가설을 검증하기로 했다. 식충식물의 경우 포유동물의 진화과정에서 영장목(目)이 나온 것처럼 속씨식물의 진화과정에서 식충식물목이 나온 게 아니라 여러 지점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했다. 즉 식충식물이 지닌 목이 다섯 가지나 된다(벼목, 석죽목, 괭이밥목, ...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연항생제 내뿜는 바다의 파수꾼 ‘해초’동아사이언스 l2017.02.19
- 균에 감염될 위험이 그만큼 줄어든다는 뜻이다. 해초밭 일대는 물고기와 해양 무척추동물, 산호에 해를 입히는 병원균도 절반 수준으로 낮았다. 해초는 남극 대륙을 제외하고 지구의 모든 대륙붕(수심 200m 이내 얕은 바다)에 산다. 얕은 바다의 수질을 개선하고 물고기 서식지를 제공해 사람이 ... ...
- 이 괴물이 인류의 조상이라니!동아사이언스 l2017.02.12
- 단계에서 항문이 입보다 먼저 생기는 동물로, 불가사리와 성게부터 인간이 속한 척추동물까지 매우 광범위한 생물종의 공동 조상이다. 결국 영장류나 원숭이보다 더 오래된 인류의 조상이라는 것이다. 사코르히투스의 대칭인 몸 구조는 인간을 비롯한 많은 후손들이 물려받았다. 하지만 ... ...
- 죄책감을 덜 느껴야 하는 이유2017.02.12
- 생각을 갖고 있다면, 다시 생각해보도록 하자. 사회적 지지를 주고받는 경험은 사회적 동물인 우리들에게 있어 근본적으로 ‘즐거운’ 경험이라는 점을 기억해보자. ※ 참고문헌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Wiltermuth, S. S., & Cohen, T. ... ...
- [사이언스 지식인] 구제역 O형과 A형, 혈액형 같은 건가요?동아사이언스 l2017.02.11
- 바이러스의 모든 것을 ‘외부 침입자’로 생각하고 항체를 만듭니다. 구제역에 감염된 동물의 혈액에 어떤 항체가 만들어졌는지 분석한 뒤 A형, O형 등 7가지로 구제역의 종류를 분류합니다. Q. O형, A형 등의 차이에 따라 백신도 달라지나요? 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는 O형 백신 ... ...
- [사이언스 지식 in]구제역 감염 소의 우유, 마셔도 안전할까?동아사이언스 l2017.02.06
- - 위키미디어 제공 Q.구제역이 뭔가요? A. 소, 돼지, 염소, 양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인 ‘우제류’에서 나타나는 전염병입니다. 다 자란 가축의 경우 치사율이 높지 않습니다만 어린 가축들에겐 치명적일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치사율도 5~55%의 넓은 범위로 나타나곤 하지요. 구제역에 ... ...
- [사이언스 지식in] 굴 하나 잘못먹어도 노로바이러스에 걸리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2.02
- 약 18%가 노로바이러스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포유류 동물의 소장 세포 속으로 들어가 그 안에서 자손을 불립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처럼 유전정보는 RNA를 통해 전달하며, 유전자 변이가 쉽게 일어난다는 특징을 갖고 있지요. 우리가 알고 있는 ‘노로 바이러스’라는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내 실패는 내 탓이 아니라고!2017.02.01
- 생각은 한 때 꽤 인기가 있었다. 사실 우리는 꽤 똑똑한, 고등인지기술을 가진 동물이고 종종 지식과 이성을 통해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도 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우리가 항상 그러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또 때로는 합리적인 행동과 심리/정서적 이득이 서로 상충될 때가 있다. 이 경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2017.01.23
- 조명한 책을 번역하고 있는데 꽤 애를 먹고 있다. 그리스 철학에 신화, 지리, 역사, 동물학, 거기에 그리스어까지 너무 복잡하고 난해해 진도가 안 나간다. 그래서 번역기 성능이 급신장했다는 뉴스를 접하고 ‘반칙’을 해보기로 했다. 일단 구글번역기로 돌린 뒤 문장을 다듬고 오역된 부분은 ... ...
- [표지로읽는과학] 뜨거운 곳 좋아하는 박테리아, 열적응 메커니즘 밝혀져동아사이언스 l2017.01.22
-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미국 3대 국립공원 중 하나입니다. 규모가 워낙 크고 서식하는 야생 동물 수도 많으며 땅속에서 지질 활동도 활발히 일어나고 있어, 일반 사람들은 물론 과학자들도 참 좋아하는 명소입니다. 그런 옐로스톤국립공원에는 가면 빼먹지 않고 꼭 들러봐야 할 장소가 몇 군데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