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스페셜
"
동물
"(으)로 총 1,47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목소리가 나오면서 문제를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즉 많은 학술지들이
동물
실험 규정을 정해 논문을 실으려는 연구자들에게 배포하고 있고 데이터를 공개해 공유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조건을 다는 경우도 있다. 열린 과학만이 많은 잠재적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사소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
2017.05.07
알 수 없는 일을 가급적 ‘알 수 있는 일’로 끌어내리려는, 설명과 해석을 찾아 헤매는
동물
이다. GIB 제공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삶에서 겪게되는 다양한 사건과 주변 환경들에는 우리가 미리 예측하고 통제할 수 있는 것도 존재하지만 생각해보면 그렇지 않은 것도 매우 많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별 문제가 없는 게 수컷 대부분을 거세해 사육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럽연합이
동물
권 보호차원에서 내년부터 수퇘지의 거세를 하지 않게 권고한다고 하니 RR형인 사람들은 머지않아 유럽산 돼지고기에서 웅취의 진수를 경험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 채소를 꺼리는 이유 한편 오이 특유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마뱀은 어떻게 자기 고유의 무늬를 만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수 없었습니다. ● 도마뱀 무늬는 폰 노이만의 세포자동자로 설명 그동안 많은
동물
들의 무늬 형성 원리를 튜링의 방정식으로 설명해 왔습니다. 그런데 밀린코비치 교수팀이 주목한 쥬얼드 라세타 도마뱀은 조금 달랐습니다. 갈색 계열의 반점을 지니고 태어났지만 태어난 지 5개월이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살면서 가장 크게 후회하는 것은?
2017.04.16
반영으로 여겨진다. 함께 더불어 살고 그 안에서 사랑받는 것이 목숨만큼 중요한 사회적
동물
에게 관계적 후회가 심한 건 자연스러운 결과일지도 모르겠다. 손더스는 끝으로 80년 후에 만약 우리가 만난다면, 학생들은 100세가 되고 자신은 134세가 되어 만난다면 당신의 삶이 어땠는지 알려달라고, 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이런저런 이유로 숙면에 방해를 받았고 그 결과 만성적인 수면부족에 시달렸다. 먼저
동물
로 이, 벼룩, 빈대, 모기 등 밤이 되면 더욱 기승을 부리는 벌레들 때문에 잠자기 전 이들을 잡는 게 일이었다고 한다. 게다가 쥐까지 득실거렸다. 집의 방음도 형편없어서 도시에서는 밤새 이런저런 소음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가 모기를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4.09
모방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이어왔습니다. 이번 연구를 이끈 영국의
동물
학자 리자드 봄프리는 모기의 날갯짓에서 특별한 회전 메커니즘을 발견했습니다. 모기는 대부분의 곤충과 마찬가지로 날갯짓을 할 때 날개 위 쪽에 작은 소용돌이가 발생하는데, 연구팀은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제공 ● 깜깜한 장 속에 시아노박테리아 산다고? 일은 엉뚱한 데서 시작됐다. 2005년
동물
의 장내미생물에 대한 메타게놈 연구에서 시아노박테리아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유전자의 데이터가 좀 나왔다. 빛이 전혀 들어가지 않는 장 속에 광합성을 하는 박테리아의 유전자가 있다는 뜻밖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불로 숨어있는 해충을 없애고 재는 거름이 된다고 하지만 막상 두렁을 태울 때 죽는
동물
가운데 해충은 11%밖에 안 되고 해충의 천적이 89%라서 오히려 역효과라고 한다. 괜히 사람만 다치고 잘못하면 산불로 번질 수 있으니 이제 그만 이런 관행을 끊자는 말이다. 옛날 같으면 100% 공감했겠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평소 혈중 우리딘 수치가 높고 24시간 굶을 경우 체온이 무려 7.3도나 떨어진다. 비만인
동물
이나 사람에서 체온조절에 이상이 있다는 보고가 많은데 렙틴과 우리딘 회로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즉 영양을 충분히 섭취했음에도 혈중 우리딘의 수치가 신속히 떨어지지 않으면 대사율이 올라가지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