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스페셜
"
동물
"(으)로 총 1,47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나오면서 음식을 먹는 타이밍의 중요성이 더 주목을 받고 있다. 많은 칼로리제한
동물
실험에서 제한군은 특정 시간대에 먹이를 받고 대체로 금방 다 먹는 반면(배가 많이 고프므로) 대조군은 수북이 쌓여 있는 먹이를 아무 때나 먹을 수 있다. 즉 제한군은 칼로리뿐 아니라 사실상 시간도 제한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제안했다. 또 침의 기능을 하는 액체를 머금은 뒤 빗질할 수도 있다. 머지않아 반려
동물
매장에 ‘고양이 혀의 돌기를 모방한 빗’이 등장하지 않을까. 페르시아고양이처럼 털이 긴 품종은 혀로 핥을 때 돌기가 피부까지 닿지 못해 털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 고양이 혀를 모방한 빗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꽤 떨어져 있는 두
동물
군에서 수렴진화로 나타났다는 사실은 작은 항체가 이들
동물
의 생존에 꽤 중요함을 시사한다. 과학자들이 작은 항체에 주목한 건 덩치가 작기 때문에 기존 항체가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을 항원으로 하는 항체도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독감 바이러스의 경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반려
동물
과의 이별, 준비하셨나요
2018.12.08
다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다. 상실의 아픔은 사랑이 큰 만큼 큰 법이다. 그만큼 반려
동물
이 내게 있어 소중했음을 기억하고 함께 했던 소중한 시간을 추억하는 것이 남은 사람에게 주어진 역할일 것이다. ※참고 및 출처 Sharkin, B. S., & Knox, D. (2003). Pet loss: Issues and implications for the psychologist. ... ...
[표지로 읽는 과학]3D프린터로 출력한 뇌 신경망 모형
동아사이언스
l
2018.12.01
강도를 수치화해 모델에 값을 입력하면, 기학학적 뇌 모형을 만들 수도 있다”며 “
동물
의 성장단계별로 값을 달리한다면 뇌의 크기 변화 등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세 가지 가운데 둘이 세놀리틱이라니 이 회사 연구원의 선견지명이 대단하다. 다만 둘 다
동물
실험에 쓰인 양보다 훨씬 적게 들어있어 이 캡슐을 복용한다고 해서 세놀리틱 효과를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래도 ‘최적화된’이라는 문구에 수긍하고 선선히 주문 버튼을 눌렀다. ※ 필자소개 ... ...
[표지로 읽는 과학]생명체가 처음 등장한 캄브리아기를 탐험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사이언스 제공 캄브리아기는 약 5억 4100만 년 전부터 4억 8800만 년 전까지 시기다. 지질시대 중 고생대를 구분하는 여러 시점 중 가장 앞선 시기에 해당한 ... 도착한 것 같다”며 “지금의 생물과는 다른 기괴한 모습을 가졌던 것으로 추정되는
동물
들이 넘쳐난다”고 말했다. ... ...
[과학게시판] AI 국제컨퍼런스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1.20
균주’와 관련 기술을 이전하는 4억6000만 원 규모의 기술 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동물
실험과 임상시험에서 효능이 입증된 이 유산균은 종근당바이오를 통해 향후 상용화될 예정이다. ■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22일 오후 2시부터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연구데이터를 위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퀴에우인(queuine)은 진화적으로 오래된 분자로 역시 박테리아가 만들어 식물이나
동물
이 흡수한다. 사람의 경우 섭취한 음식이나 장내미생물에서 얻는다. 퀴에우인은 몇몇 전달RNA의 구성성분이기 때문에 결핍될 경우 단백질 합성에 문제가 생긴다. 또 BH4라는 물질의 수치도 떨어지면서 세로토닌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사람이 제압당하기 십상일 것이다. 반면 소형 유인원인 긴팔원숭이는 과거 애완
동물
로 키웠다는 역사도 있지만 여기에 50세대 선별까지 거치면 정말 환상적인
동물
(키우는 사람의 입장에서)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물론 이런 초(ultra)장기 프로젝트가 진행될 일은 없겠지만. ※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