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풍미
향미
미각
향기
정취
경험
d라이브러리
"
맛
"(으)로 총 1,57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두머리 조달호, 곰바우를 인정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2호
가 볼까요? 곰바우의 고민우두머리 조달호에게 도전장을 던진 곰바우는 조직의 쓴
맛
(?)을 보아야만 했답니다. 이유가 뭐냐고요? 조달호에게는 이미 만들어 놓은 조직이 있었기 때문이지요. 우두머리 조달호에게는 그를 따르는 든든한 부하가 있었거든요. 그 중 대표적인 원숭이가 ... ...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옥시토신과 같다 고초균(枯草菌, Bacillus subtilis)에서 분리하는 폴리 펩티드 항생물질 쓴
맛
이 있는 중성(中性)의 회백색 분말이며 물에 잘 녹고, 에탄올 · 메탄올 · 빙초산에 녹으며 에테르 · 클로로포름 · 아세톤에는 안 녹는다의약용으로는 용혈성 연쇄구균(溶血性連銷球菌) 및 포도상구균에 의한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냉각하다가 불이 났기 때문이다.“꼬박 보름 동안 손으로 그을음을 닦았어요. 죽을
맛
이었죠. 며칠 후 2억원의 손실을 보험으로 보상받고 새 기계를 설치했으니 어찌 보면 행운이었죠.”그 후 한동안 문 박사는 매일 도시락을 싸왔다. 점심시간에 식당에서 줄을 서는 시간조차 아까웠기 때문이다.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쓴
맛
신
맛
짠
맛
만 느낄 뿐이며 우리는 냄새를 통해 다른 다양한
맛
을 느끼는 것이다.
맛
을 잘 느끼지 못해 병원에 오는 사람들 가운데 90%는 후각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다.올해의 노벨생리의학상은 이처럼 중요하면서도 과학계에서는 연구가 뒤쳐져 ‘잊혀진 감각’으로 불렸던 후각 메커니즘을 ... ...
새만금 갯벌에 기댄 어민들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동고서저의 한반도 지형. 강은 육지에서 배출한 유기물을 거둬 서해로 흘러 드넓은 갯벌에 부려놓는다. 검은 땅 갯벌이 품고 있는 무수한 생명은 이 유 ... 부른다. 솔잎을 넣고 달인 물에 찔린 부위를 담그면 효험이 있단다. 이렇듯 독한 놈이지만 매운탕
맛
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고 ... ...
금성과 목성의 랑데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두 행성을 함께 보려면 저배율로 한다. 망원경에서 두 행성이 함께 보이는 모습은 색다른
맛
을 풍긴다. 더구나 망원경의 집광력 때문에 금성과 목성의 빛은 눈을 찌를 듯 강렬하다. 배율을 높이면 반달형보다 좀 통통해진 금성과 옅은 줄무늬가 있는 원반형의 목성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저배율에서는 ... ...
에어버스와 보잉의 에어쇼 수주전쟁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아콘드라이트와 흡사하다 케토말론산이라고도 한다 무색의 결정으로 녹는점 121℃이다
맛
· 냄새가 없는 안정한 백색분말로 당뇨병 치료약의 하나 150~160℃에서 일부 결정수를 잃고, 210~220℃에서 분해된다췌장의 인슐린 분비기능의 회복을 촉진하고 혈당값의 저하, 요당의 감소 · 손실, 요중 케톤체의 ... ...
몸은 어떻게 통증을 느낄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정보다. 모든 통증은 그 나름대로의 목적을 갖고 생긴다. 소화불량일 때 배가 아프면서 밥
맛
이 없는 이유는 소화기관이 쉬려는 것이며, 다리를 다쳤을 때 아픈 이유는 다리를 움직이지 못하게 해 다친 부위를 치료하려는 것이다. 아프면 습관적으로 진통제를 찾던 사람도 통증의 이런 속셈을 알게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김정엽 씨는 “그래도 로봇이 처음 걸었을 때 희열을 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
맛
에 밤새 연구하는 것이 아닐까.인간 닮은 로봇은 꿈을 준다사실 로봇이 꼭 인간의 모습을 닮을 필요는 없다. 두 다리로 걷든 네 다리로 걷든 똑똑하고 일만 잘하면 그만이다. 예를 들어 KAIST 양현승 교수팀이 개발해 ... ...
눈과 망원경으로 즐기는 가을밤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않게 확인할 수 있다.이 성단은 구성하는 별들의 집중도가 다소 떨어지기 때문에 화려한
맛
은 없다. 대신 맨눈으로도 보인다는 사실이 대단한 장점이다. 주의 깊은 관측자라면 이 성단을 찾은 다음 보이는 별들의 위치를 기록해보자. 좁은 영역 안에서 의외로 많은 별들이 눈에 보인다는 사실에 새삼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