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무게를 감당하는 게 아직까지는 과제로 남아 있다.그는 “새가
먹이
를 낚아채면
먹이
가 새 전체 무게의 20~30%에 달해도 상황에 맞게 비행모드를 바꿔서 날 수 있다. 박쥐도 마찬가지다. 임신을 해서 새끼가 뱃속에 있어도 여전히 잘 날고 있다”고 설명했다. 큰그림 보러가기앵무새 꼬리에서 비행 ... ...
뛰어난 ‘사시’ 사냥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갑자기 홱 돌리면서 물과 함께 빨아들인다. 움직이는 것을 싫어해 까닥거릴 뿐이지만
먹이
를 잡는 순간은 수백 분의 1초가 걸릴 만큼 빠르다. 해마는 몸이 거의 뼈로 이뤄져 있고 근육이 거의 없어 포식 동물에게 잡아먹힐 위험도 많지 않다 ... ...
[culture] 한여름 기운 되찾아주는 패류의 왕 전복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내장에는 ‘피로페오포르바이드 a’라고 하는 독성 물질이 있다. 이 물질은 전복의
먹이
인 해조류에서 유래하며 광(光)과민성을 일으킨다. 따라서 중독 증상은 직사광선을 받은 부위에만 나타나며, 봄 전복의 내장을 먹고도 실외에서 직사광선을 쬐지 않는다면 멀쩡하다. 이제 토호쿠에서 봄 전복 ... ...
사건파일 1 공룡뼈의 정체를 밝혀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잘 발달되지 않은 초식 공룡은 위석을 이용해
먹이
를 잘게 부수었다. 새가 이빨이 없어
먹이
를 통째로 삼킨 뒤 위 속의 모래주머니를 이용해 소화하는 것과 같다.뼈에서 공룡 복원하기에드몬토사우루스가 맞다면 실제 모습이 어땠을지도 알 수 있어. 이 공룡처럼 뼈 전체가 그대로 발견되는 경우는 ... ...
사건파일 3 공룡폭행사건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줄이기 위해 공룡은 길고 가는 목과 꼬리를 가지게 된 거야.그럼에도 공룡 사이의
먹이
다툼은 영원히 풀 수 없는 문제라고 할 수밖에…. 먹을 것이 자꾸 줄어드는데 함께 살 방법을 찾지 못한다면 공룡은 모두 사라지고 말 거야. 공룡나라를 되살릴 효과적인 법칙이 필요해. 오돌도돌한 공룡알의 ... ...
개미 세계의 진정한 영웅 납시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무리 전체에 도움이 되도록 집단으로 행동할 때가 대부분이지요. 알을 돌보고
먹이
를 구하는 일도 나눠서 하고, 사는 곳이 공격을 받으면 힘을 합쳐서 적을 물리치지요. 그런데 우리도 딱 한 번, 아무도 몰래 혼자 행동할 때가 있어요. 바로 죽을 때죠. 죽을 때가 되면 우리 개미는 정든 무리를 떠나서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따라서도 배설물의 색깔이 달라 풀을 많이 섭취하는 여름에는 색이 검고 윤기를 띠지만
먹이
가 없는 겨울에는 나무껍질까지 갉아 먹은 탓에 회녹색을 띤다”고 덧붙였다.사실 보잘것없어 보이는 산양의 배설물에는 놀라운 능력이 숨어 있다. 산양은 독초를 빼고 거의 모든 식물을 먹는다. 물론 ... ...
물고기는 자외선으로 얼굴을 구분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여전히
먹이
가 있었던 종이를 알아보고 찾아왔어요. 즉, 자리돔이 자외선으로 얼굴과
먹이
가 있는 곳을 구별한 거예요. 연구팀은 같은 종 끼리도 자외선으로 서로를 알아보는지 더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모르겠다. 최근에는 독성을 제거한 복어를 양식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복어 독은 유독성
먹이
로부터 유래하므로 무독성 사료만으로 키우면 독성이 없는 복어를 양식할 수 있다. 입맛 까다로운 미식가가 아니라면 맛도 그다지 차이가 없다고 하니 기대해 볼 만하다.복사꽃 피어도 황복은 오지 않는다 ... ...
첨단 과학과 예술이 만나 들려주는 바다 이야기, 코르디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긴 다리로 부드러운 심해 바닥을 살금살금 걸어 다니는 세다리물고기, 자기 몸 크기만 한
먹이
를 집어삼킬 수 있다는 거대한 풍선장어가 어두운 심해를 배경으로 실감나게 헤엄치고 있다.해양 생물들 옆에는 표면이 울퉁불퉁한 검은 돌이 보인다. 겉보기엔 평범한 돌인데, 사실은 수심 4000m에서 건져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