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쉬와넬라균(Shewanella)을 이용해 무매개체형 미생물연료전지를 구성했다. 연료(미생물의
먹이
)로는 젖산을 공급했는데, 젖산 소모량과 전기생산량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무매개체형 미생물연료전지를 구현한 세계 최초의 사례로 기록됐다.그 뒤에도 김 박사팀은 두 가지 방향에서 ... ...
첨단 과학과 예술이 만나 들려주는 바다 이야기, 코르디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긴 다리로 부드러운 심해 바닥을 살금살금 걸어 다니는 세다리물고기, 자기 몸 크기만 한
먹이
를 집어삼킬 수 있다는 거대한 풍선장어가 어두운 심해를 배경으로 실감나게 헤엄치고 있다.해양 생물들 옆에는 표면이 울퉁불퉁한 검은 돌이 보인다. 겉보기엔 평범한 돌인데, 사실은 수심 4000m에서 건져 ... ...
태평양을 넘어 하와이를 향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펭귄이나 바다사자와 같이 지내고 사람이 다가가도 도망치지 않는다. 수컷은 가끔
먹이
를 구하려고 바다에 뛰어들었지만 병든 부비에게 잡힐 물고기는 한 마리도 없었다. 얼마 후, 죽을 때가 되었다고 생각했는지 바다속으로 뛰어들었다. 그리고 몇 번 허우적거리던 수놈 부비는 다시 떠오르지 ... ...
물고기는 자외선으로 얼굴을 구분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여전히
먹이
가 있었던 종이를 알아보고 찾아왔어요. 즉, 자리돔이 자외선으로 얼굴과
먹이
가 있는 곳을 구별한 거예요. 연구팀은 같은 종 끼리도 자외선으로 서로를 알아보는지 더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 ...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왔다. 전영열 센터장은“환경오염으로 바닷물 속의 영양염류가 과다해지면서 해파리의
먹이
인 플랑크톤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진 것도 원인”이라고 설명했다.국립수산과학원 해파리정보센터는 해파리의 출현과 이동을 감시하는‘해파리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가동했다. 해파리 모니터링 ... ...
온난화 막으려다 죽음의 바다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중독된 바닷새들이 마을을 공격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트릭 교수는 “도모이산은
먹이
사슬을 통해 게나 물고기뿐 아니라 최고 단계 포식자인 포유류와 인간에게까지 전달된다”며 “철분을 바다에 뿌렸을 때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아무도 알 수 없어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고 설명했다 ... ...
지금은 사라진 그때 그 동물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내뱉는다. 식인상어는 백상아리를 비롯해 청상아리(7m), 뱀상어(6m) 정도뿐이며, 오랫동안
먹이
구경을 못했거나 사람이 먼저 공격했을 때만 난폭해진다. 호주나 남아공에서는 백상아리가 해수욕장에 등장할 때도 있다고 하니 정말 무시무시하지 않을 수 없다.하지만 영화나 소설에 나오는 거대동물 ... ...
감쪽같이 위장한 ‘움직이는 나뭇잎’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들러붙을 수 있다. 사실 큰가시대벌레가 식물에 매달리는 이유는 잎사귀대벌레처럼 잎을
먹이
로 삼기 때문이다. 주머니쥐 같은 천적이 나타나면 큰가시대벌레는 앞다리와 배를 위로 치켜들어 위협적인 자세를 취한다. 다리와 온몸에는 무수히 많은 가시(곁가지)가 돋아나 있어 겉모습만으로도 몸을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올라온 수중동물이 식물이 번성하는 습지에 살면서 점차 대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먹이
를 많이 먹을수록 덩치가 커지는 파충류 가운데는 현존하는 코끼리보다 훨씬 큰 거대동물이 출현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수컷코끼리보다 몸무게가 무려 24배 더 나가는 거북이 등장 할 가능성이 높다. ... ...
썩어도 특별한 맛 참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카로티노이드를 자신의 세포 속에 저장함으로써 선홍색을 띤다. 만약 이 색소가 함유된
먹이
를 먹지 못하면 참돔의 붉은빛도 사라진다. 실제로 양식산 참돔은 사료만 먹어 카로티노이드를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고 좁은 곳에 갇혀서 지나치게 많은 햇빛을 받기 때문에 멜라닌 색소포가 확장돼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