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위기에 처한다는 설정은 SF영화나 소설에서 흔히 다루는 소재다. 만약 외계의 박테리아가
먹이
로 삼는 물질이 사람의 몸을 이루는 물질과 같다면 인류에게는 큰 위협이 된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와 달리 스스로 증식하지 못하고 숙주를 이용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숙주의 유전물질을 ... ...
달콤살벌한
먹이
사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자연에 살고 있는 생물들은 대부분 먹고 먹히는 관계를 이루고 있어요. 여기 칠성무당벌레부터 참매에 이르는
먹이
사슬처럼 말예요. 생물들은 이렇 ... 열매뿐 아니라 이렇게 곤충이나 거미를 잡아먹기도 한단다.거미야, 미안하지만 내
먹이
가 되어 줘야 겠어. 내 부리에 꼼짝없이 잡혔잖니 ... ...
[생물] 생물과 환경의 관계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의해 개체군 생장이 억제되는 상황과 비례할 것이므로 (
먹이
가 많을수록 포식자도
먹이
를 구하기가 쉬워진다) 포식자에 의한 개체군 생장억제 역시 음성 피드백이 된다 ... ...
초파리의 짝짓기에서 인간의 뇌를 보다 - 분자신경행동학 연구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세포들의 연결이 얼마나 강한지 신경전달물질은 무엇인지 알아내야 한다. 교미후
먹이
가리기, 알 낳기 등 다른 짝짓기 행동과 관련된 신경세포까지 파악하면 ‘짝짓기 뇌 회로’가 완성된다.“전체 뇌 회로를 완성하는 것은 아직 먼 일이지만 조각조각 나온 결과도 중요해요. 특히 짝짓기 행동은 ... ...
When Animals Think and Talk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역시 동물계에 소속돼 있다. 그러나 우리는 종종 우리 자신을 지적능력의 피라미드, 혹은
먹이
사슬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시키곤 한다. 그러면서 우리 자신에게 다른 동물을 우리 마음대로 다룰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이것은 정당한 일인가? 최근의 과학적 발견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을 ... ...
해양동물 보전센터에서 찾은 바다 신호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않고 입을 오물거리는 가오리에게 말을 해 봤어. 뭔가 할 말이 많아 보였지만, 알고 보니
먹이
를 달라고 입을 오물거리는 거였어. 역시 신호음은 관심이 없다고 하더라고. 아~, 이대로 사건 해결을 못하고 가는 걸까? 명예기자 체면이 말이 아닌데…. 이 때, 낙담한 우리 머리 위로 ‘푸른바다거북’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일본 해역 주변에 고래의 출현 빈도가 높은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이는 고래의
먹이
가 되는 동물플랑크톤이 이 지역에 많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자료”라고 설명했다. 특히 오징어 같은 연체동물은 한국을 중심으로 한 중국과 일본 해역에서만 두드러지게 출현했다.이 외에도 ... ...
‘자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잎을 찢어보더니 소화 억제성분이 없는 잎만 골라 먹었다. 타고난 본능대로 유익한
먹이
를 고른 셈이다.이 책은 자연을 모방해 인류가 배운 것을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방법과 사업과 연결하는 방법도 소개하고 있다. 생체모방이야말로 생태계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도 생명체가 편하게 살 수 있는 ... ...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플랑크톤→작은 물고기→새’와 같다. DDT는 지방에 축적돼 생물농축이 일어나고
먹이
사슬의 최상위 단계에 있는 새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축적된다. 그러므로 새가 가장 큰 피해를 입는다.2) 흑사병은 매개자가 쥐 또는 벼룩이다. DDT를 많이 살포한 지역에서는 고양이와 같은 최상위단계의 포식자가 ... ...
달팽이의 봄소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명주달팽이야! 드디어 봄이 왔구나! 이번 겨울은 너무 길었어. 게다가 내가 좋아하는
먹이
인 푸른 잎이 없으니 잠에서 깰 수가 없지 뭐야. 난 날씨가 너무 건조할 때는 물론이고 춥거나 더울 때도 등에 지고 다니는 껍데기 속에 들어가 쉬거든. 좁은 껍데기 속에서 봄이 오길 얼마나 기다렸는지 몰라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