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양 생물의 낙원 츄라우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가진 상어. 얼마나 난폭한지 이 곳 상어 수조에는 사육사가 절대로 들어가지 않아요.
먹이
도 밖에서 던져 주지요. 상어는 피부도 무기예요. 표면이 꺼칠꺼칠해서 스치기만 해도 상처가 나거든요. 그런데 장점도 있어요. 상어가 빠른 속도로 헤엄칠 수 있는 이유는 피부에 난 작은 돌기들 덕분이에요. ... ...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부분은 작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균사는 빵 전체에 퍼져 있단다. 곰팡이가 좋아하는
먹이
와 습기가 많으면 곰팡이는 아주 크게 자랄 수 있어. 실제로 영양이 풍부한 1만㎡에는 보통 곰팡이가 2700㎏이나 들어 있어. 놀랍지? 우리 곰팡이들을 작다고 미생물이라고 부르지만, 사실 넓게 퍼져 사는 거대한 ... ...
뚝딱 뚝딱~ 고물의 이유있는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공격하는 모습을 만들었어. 쥐는 네티즌을, 뱀은 권력자를 상징하지. 네티즌이 모이면
먹이
사슬을 거슬러 천적인 뱀도 공격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대.곤충은 천적을 피하기 위해 주변 자연 환경과 닮은 모습을 하고 있어. 그러니 자연에서 얻는 재료를 이용하면 다른 재료로 만드는 것보다 ... ...
특종! 고슴도치 섬에 우주인이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있는 섬 위도.왼쪽 끝이 고슴도치 입부분이고 그 아래쪽에 있는 작은 섬은 고슴도치
먹이
라는 뜻의 ‘식도’예요.김현준 (위도고등학교 3학년) : 고산 형? 물론 봤지~! 나랑 악수도 했는걸? 와서 뭘 했냐고? 우리 위도 중·고등학교 전교생 스물 아홉 명과 만나 이야기를 들려 주고 가셨어. 고산 형이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용해 구석구석 몸을 닦아 준다.➌ 몸 상태에 따라 위 과정을 며칠이고 반복한다.
먹이
도 먹여 체력을 회복시킨다. 몸집이 큰 가마우지(위)는 한 번 식사 때마다 미꾸라지를 15마리 넘게 먹는 먹보다.➍ 계속 추적 연구를 하려면 다리나 날개에 번호표를 붙인다.➎ 건강 충분히 회복되면 원래 살던 ... ...
우리 손으로 그린 첫 남극 그림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올게뒤뚱뒤뚱~ 펭귄 4마리가 줄지어 바다로 향하고 있다. 수영 연습이라도 하려는 걸까,
먹이
를 사냥하러 일터로 나가는 걸까.❷ 남극 하늘 지키는 무법자스쿠아 한 마리가 위엄을 띠고 앉았다. 거칠고 날쌘 이 도둑갈매기 앞에서는 펭귄도, 사람도 어쩔 도리가 없다.❸ 무법자의 식탁지의류(균류와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상 넓고 높은 사육장에서 비행훈련도 하고, 습지에 살아 있는 붕어나 송사리를 넣어 줘
먹이
를 잡아먹는 훈련도 시켜야 한다.황새복원사업의 최종 목표는 과거처럼 야생 서식지에 황새들이 스스로 생존과 번식을 하는 상태다.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인 논과 습지를 함께 복원해야 한다. 농경지 내에 ... ...
달콤살벌한
먹이
사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자연에 살고 있는 생물들은 대부분 먹고 먹히는 관계를 이루고 있어요. 여기 칠성무당벌레부터 참매에 이르는
먹이
사슬처럼 말예요. 생물들은 이렇 ... 열매뿐 아니라 이렇게 곤충이나 거미를 잡아먹기도 한단다.거미야, 미안하지만 내
먹이
가 되어 줘야 겠어. 내 부리에 꼼짝없이 잡혔잖니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당 함량이다. 유산균이 발효를 통해 신맛을 만들 때는 ‘당’을
먹이
로 삼는다. 당 함량이 너무 높으면 맛이 적당히 새콤해진 다음에도 계속 발효가 진행돼 김치가 산패되기 쉽다.다만 봄, 여름에 서너 포기만 김치를 담가 먹는 경우는 당 함량이 높은 무가 유리할 수도 있다. 봄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위기에 처한다는 설정은 SF영화나 소설에서 흔히 다루는 소재다. 만약 외계의 박테리아가
먹이
로 삼는 물질이 사람의 몸을 이루는 물질과 같다면 인류에게는 큰 위협이 된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와 달리 스스로 증식하지 못하고 숙주를 이용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숙주의 유전물질을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