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면"(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떨어뜨린 음식, 5초 안에 먹으면 OK?과학동아 l2016년 03호
- 2월 3일 보도했다(동영상 참조).방송에 따르면 5초 법칙은 엄밀히 ‘30초, 수분, 표면 법칙’이 돼야 한다. 로버 연구원은 “어떤 음식이든 바닥에 떨어뜨리면 박테리아가 적은 양이라도 곧바로 묻는다”며 “그러나 박테리아의 평균 이동 속도는 시속 0.00045마일(초속 0.0201cm)로, 달팽이보다 67배 ... ...
- 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없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동물실험 대신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답니다.*표피 : 동물이나 식물의 표면을 덮는 세포층.*각막 : 눈 앞쪽에 있는 투명하고 혈관이 없는 조직.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실험동물 입양 프로젝트Part 1. 사람과 과학을 위한 공헌 실험동물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Part 3. 동물실험의 ... ...
- [과학뉴스] 그래핀 위에선 전자도 물처럼 흐른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기술김필립 미국 하버드대 물리학과 교수팀이 그래핀 표면 위에서 전자가 마치 액체처럼 움직인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사이언스’ 2월 11일자에 발표했다.그래핀은 원자 한 층 두께의 2차원 탄소 물질로, 전기전도성이 실리콘의 100배에 이르고 강도가 강철보다 200배 뛰어나다. 하지만 아직까지 ... ...
- [수학뉴스] 건강을 지키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오각형이 모여 구형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이런 성질을 바탕으로 단백질 초미세입자 표면의 구조를 나타낼 수 있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연구팀은 이를 통해 초미세입자를 분석하는 게 가능해지면 지금보다 비용도 적게 들고 강한 백신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를 이끈 리던 ... ...
- [과학뉴스] 지하수가 해수면 상승 막는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인공위성 그레이스(GRACE)를 이용해 미세한 지구 중력 변화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육지 표면을 흐르는 물의 총량을 계산했다. 이렇게 추정한 2002~2014년 사이의 물 용량 변화를 빙하가 녹는 속도와 비교했다. 그 결과, 최근 10여 년간 흙과 호수, 지하수 등에 3조2000억t의 물이 추가로 저장된 것으로 ... ...
- [과학뉴스] 바이러스 질량까지 재는 센서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레터스’ 1월 27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실리콘 원판인 웨이퍼를 1150℃로 가열할 때 표면 원자가 이동하는 현상에 주목했다. 이를 활용해 실리콘 웨이퍼 내부에 빈 공간을 만들고, 여기에 산화막을 씌워 수백 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굵기의 실처럼 얇은 튜브형 센서를 만들었다. 이 센서는 ...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침입했을 때도 세포는 종종 이 방법을 사용하는데, 세포소기관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표면에 특정 단백질을 가지고 있는 병원체를 동시에 소탕할 수 있어서다. 집안 살림을 축내는 바퀴벌레와 쥐가 옆 곳간까지 침범하기 전에 곳간을 무너뜨리고 새로 짓는 셈이다.그런데 일부 영악한 바이러스들은 ... ...
- [지식] 매스미디어_라플라스의 마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중력과 공기저항, 책상에 떨어질 때의 낙하각도, 관성모멘트, 책상과의 반발계수, 책상 표면과의 마찰력 등을 모두 계산해 결과를 예측한다는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겐토는 활을 쏘면 화살이 꽂히기 전에 과녁 어디에 맞을지도 정확히 맞혔다. 우하라 박사는 겐토가 꾸준히 연습하면 이보다 더 ... ...
- [News & Issue] 찾았다! 양자컴퓨터 만들 위상절연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전기재료를 개발할 때 핵심은 저항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줄이는 것이다. 전류가 표면에만 흐르고, 내부는 흐르지 않아 저항이 최소화 된 ‘위상절연체(Topological insulators)’에 적합한 물질을 스위스의 한 연구팀이 찾아냈다.스위스 로잔연방공대 올레그 야지예프 교수팀은 비스무트 요오드화물 ...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풍화작용을 겪으면서 전체가 아닌 일부만 남아 있으므로, 눈을 동그랗게 뜨고 바위 표면을 손으로 더듬으면서 화석을 찾아다녔다. 김민상 탐사대원이 가장 먼저 삼엽충 화석을 찾는 데 성공했다. 이외에도 탐사대는 촘촘히 가시가 나 있는 물고기와 달팽이처럼 패각이 말려 있는 암모나이트, 그리고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