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화학반응 중간에 보는 현미경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물질구조역학연구소장은 “화학 합성 분야의 거대한 진전”이라면서도 “은의
표면
에서 중간생성물이 안정화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케미스트리’ 5월 2일자에 실렸다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Ottobock) 등 다양한 전자 의수가 출시됐지만, 수천만 원을 호가하는 비싼 가격이 흠이다.
표면
근전도로 알아낼 수 있는 동작 수가 10여 개에 불과하다는 근본적인 한계도 있다. 최근에는 근육 대신 신경 다발에서 직접 전기 신호를 받으려는 연구가 시작됐다.인공 신장미국 UC샌프란시스코와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정확하게 해독할 수 없는 정보를 담고 있었다. 은성의 아름다움은 그 알 수 없는 정보의
표면
을 이루고 있었다. 그 밑을 조금만 더 파고 들 수 있으면 이 갑갑함이 풀릴 텐데. 윤정이 은성에게 품고 있는 감정은 그 정보의 결과물일 뿐이었다.윤정은 은성에게 저녁을 먹고 가지 않겠냐고 물었다. ... ...
[Tech & Fun] 이제는 우주산업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쓰일 수 있다.우주 비행체에는 무인 이동 유도시스템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달
표면
에서 안전한 착륙 장소를 찾거나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우주선을 도킹시킬 때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주변 환경을 실시간 관찰할 수 있는 3차원 라이다(LIDAR) 기술은 무인자동차나 사람의 도움 없이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학대 피해자는 성장한 뒤 자신을 학대한 부모를 살해하기도 한다. 존속살해 사건은
표면
적으로 경제적인 문제와 가정불화 등 원인이 다양하지만, 그 밑바탕에는 학대로 인한 상처가 자리 잡고 있는 경우가 많다. 2011년 서울 광진구에서 일어난 고교생의 모친 살해 사건이 대표적이다. 피의자는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전개도를 제작합니다. 그 다음에 종이접기를 해서 다양한 장기 모양의 틀을 만들죠. 종이
표면
을 고분자로 얇게 코팅한 다음 하이드로겔을 입힙니다.김현수: 세포들이 실제로 잘 자라던가요?황석연: 기관지 모양을 본 뜬 종이 스캐폴드에 연골세포를 배양시켜 토끼에 이식하는 실험을 했었어요.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우리 가출할 거야!”어떻게 보이나요?사람이 뭔가를 보려면 물체에서 반사된 빛이 눈의
표면
을 덮고 있는 투명한 각막을 통해 눈에 들어와야 돼요. 각막을 통해 굴절된 빛은 동공을 통과하고, 수정체와 유리체를 거쳐 망막에서 상을 맺지요. 그럼 시신경이 망막에 맺힌 상을 뇌로 전달해 우리가 ... ...
[과학뉴스] 비행기에 그래핀 장갑 끼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날개의 얼음을 없애는 방법을 개발해 발표했어요.비행기 날개에 얼음이 덮이면 날개
표면
이 거칠어져 비행 성능이 떨어져요. 이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 얼음을 녹이는 화학 물질을 뿌리거나 따뜻한 빛을 쪼이기도 하고, 직접 얼음을 긁어내기도 하지요. 하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화학 물질을 ...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보통 건물을짓는 기술과 다른 기법을 제안했어요.우선 엘리베이터 탑의
표면
을 강도가 높은 신소재 섬유로 만들어요. 그리고 그 속에 높은 압력의 공기를 넣어서 마치 풍선 기둥처럼 탑을 세우는 거예요.하지만 이 탑은 지름이 230m이고 높이가 20km나 되기 때문에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에 아주 약해요. ... ...
[헷갈린 과학] 바다표범VS바다사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바다사자의 앞지느러미발은 바다표범과 비교했을 때 긴 편이며, 발톱이 짧고 털이 없어
표면
이 매끈해요. 이 앞지느러미발을 이용해 물 속에서 시간당 25∼30km를 헤엄칠 수 있지요. 뒷지느러미발은 몸 아래쪽에 포개어 둘 수 있어요. 또 귓바퀴가 밖으로 튀어나와 있는 것도 바다표범과 다른 큰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