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양
경작
양성
양식
교화
재배식물
식물
스페셜
"
재배
"(으)로 총 12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논문에서 저자들은 오늘날 만다린을 비롯한 여러 감귤류가 사람들의 사랑을 받으며 널리
재배
되는데 포멜로의 공이 컸다고 주장했다. 즉 과실이 작고 시큼한 순종 만다린이 포멜로와 만나 크기가 커지고 달콤새콤한 과일이 된 것이다. 오늘날 과수로 성공한 만다린 품종 대다수는 순종 만다린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논문을 보면 나팔꽃(Ipomoea nil)의 영문명이 Japanese morning glory(일본나팔꽃)이다. 그럼에도
재배
역사를 기술한 걸 보니 8세기에 중국에서 약용식물로 들여와 원예식물로 ‘용도변경’을 했다. 문득 ‘우리풀백과사전’에서 언급한 외국이 중국일까 일본일까 궁금해진다. 류시화 시인이 번역하고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것이다. 그 경우 수확량이 50%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될 뿐 아니라 가뭄에 저항력이 높아져
재배
가능지역도 넓어질 것이다. 지난 4월 호주 캔버라에서 열린 ‘C4 광합성 컨퍼런스: 과거와 현재, 미래’에는 1966년 논문의 저자인 해치와 슬랙도 참석해 했다고 한다. 80대에 접어든 두 사람은 후배들의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고지방 저탄수화물 식단이 보편화된다면 이는 대대적인 농업재편을 의미한다. 즉 곡물을
재배
하는 땅이 목초지로 바뀌고 해안가는 양식장으로 뒤덮일 것이다. 올리브기름 같은 식물성도 있지만 지방은 주로 육류와 생선에서 섭취하기 때문이다. 이런 재편이 환경에 재앙이 될 거라는 건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
2016.05.30
같은 속으로 분류되는 개양귀비(학명 Papaver rhoeas)로 아편을 만들지 않아 관상용으로
재배
되고 있다(법정 스님이 본 꽃도 개양귀비일 것이다). 필자는 아직 (아편)양귀비꽃 실물을 보지 못했다. 흥미롭게도 개양귀비 역시 미인과 인연이 있어 우미인초(虞美人草)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즉 초나라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
2016.05.02
사람들은 수수가 풍부한 음식을 먹었던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당시 주로 남유럽에서
재배
되던 곡물이다. 즉 유럽 곳곳에서 병사들이 집결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사람도 별로 살지 않는 북유럽 오지에서 이런 대규모 전투가 벌어진 것일까. 발굴 과정에서 나무와 돌로 만든 다리의 ... ...
포기는 없다. 눈앞 문제부터 해결해 살아남으라.
IBS
l
2016.03.03
마션의 주인공 마크 와트니의 과학적 재치와 응용력을 극찬했다. 특히 주인공이 감자를
재배
하기 위해 하이드라진(Hydrazine)을 이용해 물을 만드는 장면을 최고로 꼽았다. 하이드라진은 로켓 연료로 사용되는 액체 화학물질로, 화학식은 N2H4다. 영화에서 마크 와트니는 전이금속인 이리듐 촉매 위로 ... ...
똑똑한 온실을 넘어 지속가능한 농업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6.02.26
있습니다. 프리바가 강조하는 것은 농업의 지속가능한 가치사슬입니다. 농작물을
재배
하고 분배하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과소비되고 환경에 피해가 발생한다면 이런 농업은 지속가능하지 않지요. 그러나 운송과정을 최적화하고, 공장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농업에 활용하고, 발전소의 폐열을 ... ...
신규원전과 지역사회의 이인삼각, 눈에 띄는 월성원전 봉사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20
전복을 방류하여 인근 해역의 어족자원을 풍성하게 하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에서
재배
된 작물을 가공, 유통하는 체제를 구축하는 등 청년과 장노년층의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창출되고 있다. 월성원전은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지역사회와의 상생구조 구축 사례를 성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 ...
초간편 진단키트로 해양환경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쥐에서 이 항원을 이용해 항체를 생산하는 융합세포를 발현시켜 다클론항체를 대량으로
재배
하는 데 성공했다. 알파-튜불린 유전자는 보전적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비슷한 다른 와편모조류 검출도 가능하다. 이 항체 또는 이의 면역학적 활성 단편을 이용해서 와편모조류인 헤테로캅사 트리퀘트라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