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벌레
유충
번데기
에벌레
d라이브러리
"
애벌레
"(으)로 총 296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시의 매미 소리가 요란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살고 있었던 거예요.*약충 : 번데기 시기를 거치지 않고 불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의
애벌레
.말매미가 도시에 많은 이유는?우리는 경기도 소도시보다 서울 강남과 여의도, 목동, 경기도 과천에서 매미의 밀도가 높은 이유를 세 가지로 분석했어요. 첫 번째 가설은 이 지역들은 도시화로 온도가 다른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쉽게 접할 수 있는 해양 생물의 유생(성체가 되기 전 단계)이 섞여 있어요. 알에서 깬
애벌레
가 번데기를 거쳐 나비로 변신하듯, 동물 플랑크톤도 알에서 깨어난 뒤 매번 새로운 모습을 거쳐 우리가 알고 있는 오징어나 게의 모습이 되지요.알에서 깨어난 각종 해양 생물의 유생은 크기가 아주 작아요. ... ...
자세히 보면 더 예쁘다! 아주 작은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크고 자세하게 찍을 때 사용하지요. 나다브 바김이 매크로렌즈로 찍은 사진 덕분에
애벌레
와 진딧물의 귀여운 얼굴을 사진으로 볼 수 있게 됐어요.보정 없이도 아름다운 진짜 사진위에 있는 사진을 보세요. 동글동글 반짝이는 수많은 노란 빛이 사마귀의 멋진 포즈를 더욱 빛내 주고 있죠? 작가는 ... ...
스티로폼 먹어치우는 밀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9월 21일자에 발표했다.밀웜은 딱정벌레목 거저릿과 갈색거저리 (Tenebrio molitor)종의
애벌레
를 뜻한다. 연구팀은 밀웜 100마리가 매일 작은 알약 무게에 해당하는 34~39mg의 폴리스티렌(스티로폼)을 먹어치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밀웜의 장에 서식하는 박테리아가 스티로폼을 분해해 영양분을 만들고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죽었다고 생각했다니, 이전 학자들은 제대로 관찰하지 않았음에 틀림없다. 노래기벌의
애벌레
는 죽은 비단벌레 시체는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오직 살아있는 비단벌레의 내장만 먹는다. 나는 이 사실을 밝혀 프랑스 학사원으로부터 몽티용 상을 받았다. 찰스 다윈도 ‘종의 기원’에서 내 이름을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하지 않는다. 모습은 사진으로 찍고, 행동은 머릿속에 기억한다. 곤충 한 종이 알에서
애벌레
를 거쳐 성충이 되는 모습을 수년 동안 관찰해 확연하게 정리가 되면 그때서야 글을 쓰기 시작한다. 그녀에겐 카메라가 수첩이고 메모지며 돋보기다.우리 곤충 전체를 기록한다국내에도 곤충을 기록한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함께 살고 있다.배설물에 모이는 구더기를 잡아먹는 큰수중다리송장벌레, 나비류
애벌레
를 사냥하는 네눈박이송장벌레의 신비로운 생태이야기는 잘 알려지지 못했다. 파브르가 알려준 매장충송장벌레를 시작으로 다양한 송장벌레의 신비로운 삶을 관찰하고 바라볼 때 송장벌레의 삶을 제대로 ... ...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알에서 태어난
애벌레
는 도토리 안에서 열매를 먹으며 자라요. 그러다 이듬해 봄이 되면
애벌레
는 똥을 가득 싸 놓은 뒤 도토리를 탈출한답니다. 4월쯤부터 어른이 된 도토리바구미를 만나 볼 수 있을 거예요.최숙영 숲 해설가님의 재미있는 설명을 들으며 숲길을 걷는 동안 한 봉지 가득 나뭇가지가 ... ...
[화보] 안드레이의 환상적인 개미나라 FANTASY월드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개미를 존중한다. 항상 부지런히 먹이를 찾아 움직이고 제각각 맡은 일을 한다. 알과
애벌레
를 돌보거나, 나이 든 개미를 보살피는 모습을 보면 존경심까지 든다.”안드레이는 개미와 자신이 떼려야 뗄 수 없는 영원한 친구라고 소개해요. 그래서 작품에도 ‘안트레이’라고 사인을 하지요. 자신의 ... ...
[Hot Issue]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구멍이다. (우) 침입공만 있고 탈출공이 없는 고사목을 베어내자, 월동 중인 매개곤충
애벌레
가 나왔다.]조기진단 어려워… 고사목 제거하는 게 최선지난해 산림청이 파악한 공식 피해목수는 218만 그루. 우리나라에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처음 발생한 이후로 최대치다. 그 여파가 올해도 이어지고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