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벌레
유충
번데기
에벌레
d라이브러리
"
애벌레
"(으)로 총 29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여왕벌에게 더욱 특별한 ‘로열젤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중합해 섬유 구조를 이룬다”며 “단백질이 섬유화돼 점성이 높아진 로열젤리가
애벌레
를 붙잡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3월 15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cub.2018.02.02 ... ...
[과학뉴스] 공룡 피 빨아먹는 진드기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했어요. 수시렁이
애벌레
는 오늘날 새 둥지에서 깃털을 먹고 사는데, 이를 통해 수시렁이
애벌레
가 백악기에는 공룡의 둥지에 살았다는 걸 알 수 있지요. 그렇다면 영화 쥬라기 공원처럼 진드기 속에 남은 피를 이용해 공룡을 복원할 수 있을까요? 연구팀은 “영화 쥬라기 공원에서는 화석에서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소똥 속에 알을 낳는 애기뿔소똥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9호
만들어요. 경단이 단단하게 완성되면 암컷은 그 속에 알을 하나씩 낳지요.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
는 경단을 이루고 있는 똥을 먹으며 자란답니다. 애기뿔소똥구리는 사료를 먹는 소가 늘어나면서 그 수가 점점 줄어들었어요. 사료를 먹은 소의 똥은 질퍽해서 경단으로 만들 수 없어요. 또한 이 곤충은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그 중에서도 앙증맞은 주황색 더듬이를 달고 샛초록 몸을 꿈틀거리는 호랑나비
애벌레
(맨 위 왼쪽 사진)가 단연 인기였답니다. ➊ 제인구달길에서 장이권 교수님이 숲에 사는 곤충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➋ 야간 곤충 탐사에 푹 빠진 어린이 대원들.➌ 숲에서 만난 알락하늘소.➍ 주파수 앱을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애벌레
의 매력을 흠뻑 느낄 수 있었답니다. 친구들도 앞으로 곤충이나
애벌레
를 만나면 징그럽다고 괴롭히지 말고, 소중하게 다뤄 주세요~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단백질성 먹이를 주로 섭취한다. 단백질을 이용해 서둘러 산란을 해서 새로운 세대가
애벌레
상태로 겨울을 날 수 있게 준비시키고, 남은 단백질은 체내에서 당으로 변환한다. 이를 에너지원으로 삼아 12월부터 본격 겨울잠에 들어가 이듬해 3월 이후에 활동을 재개한다. 일반적으로 기존에 살던 곳이 ... ...
[가상인터뷰] 화학물질로 곤충을 조종하는 야생 담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낮에는 잎에서 베르가모틴을 분비해 노린재를 부른 뒤 잎을 갉아먹는 박각시나방의
애벌레
를 공격하게 하는 거죠.다른 식물들에게도 생존 비법을 전수해 줘!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화분매개자와 초식동물이 식물의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 주는 사례”라고 말했어요 ... ...
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변신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독이 있는 모나치나비의 모습으로 의태해 포식자를 혼란시킨다.➌ 무늬박이제비나비의
애벌레
는 뱀인 척 하면서 다른 포식자가 다가오지 못하게 한다.➍ 꽃등에과파리는 새의 눈을 피하기 위해 벌과 비슷한 외모로 진화했다.➎ 개미를 모방한 귀뚜라미. 개미처럼 온 몸이 새까만 색이며, 더듬이도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그동안 다양한 뱀 형태의 로봇이 개발됐다. 독일 ‘에마미 디자인 스튜디오’가 2014년
애벌레
를 본 따 만든 ‘로보웜(Robo Worm)’과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진이 7월 공개한 ‘덩굴로봇’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런 수색로봇은 결국 재난 현장을 기어 다니는 방식이어서 한계에 부딪혔다. 타도코로 ... ...
[Future] ‘작은 것’들의 반란 나노카 레이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대신 ‘가장 아름다운 나노카’ 상을 수상했다. 님스마나 팀의 나노카는 바퀴 없이
애벌레
처럼 꿈틀거리며 움직인다. 그런데 경기에서는 아쉽게도 컴퓨터의 소프트웨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1nm를 달린 뒤 더 이상 움직일 수 없었다. 님스마나 팀은 소프트웨어를 복구하려고 했지만 두 번째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