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벌레
유충
번데기
에벌레
d라이브러리
"
애벌레
"(으)로 총 29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올 가을도 스치듯 안녕! 벌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7호
무리를 지어 이동했다는 기록이 있지요. 벌매는 벌을 좋아해요. 말벌집을 털어 통통한
애벌레
를 잡아먹지요.영어 이름도 ‘꿀 말똥가리’라는 뜻의 ‘허니 버자드’랍니다. 비행하는 모습이 말똥가리와 비슷하지만 생김새는 별로 닮지 않았어요. 오히려 벌매는 비둘기와 닮았어요. 독수리와 같은 ... ...
노후 하수관, 로봇으로 꼼꼼히 검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7호
실험 끝에 최적의 조합을 찾아냈답니다. Q다른 로봇도 개발할 계획이 있으신가요?이번엔
애벌레
로봇보다 가볍고, 작으며 뱀처럼 움직이는 하수관 로봇을 만들 계획이에요. 부드러운 소재로 로봇 본체를 만들어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부서지지 않도록 하고 싶어요. 지금은 부드러우면서도 강인한뱀 ... ...
[현장취재] 우리는 지사탐 패밀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정이준 어벤져스.➋ 대원들이 어벤져스의 강연을 귀담아 듣고 있다.➌ 유리알락하늘소는
애벌레
가 나무를 파먹는 해충이다.➍ 강연장 밖에는 우수 탐사대원들이 만든 포스터가 전시되었다. 지사탐 일 년이면 나도 생태학자?지구사랑탐사대 6기부터는 신규 탐사대원들을 도와 줄 ‘리더팀’이 ... ...
[Issue] 한반도 습격 시작한 남미붉은독개미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여왕개미는 교미(결혼비행)를 마치고 24시간 뒤에 10~20개의 알을 낳는다. 알에서
애벌레
(유충)가 부화하면 여왕개미가 영양물질을 분비해 유충을 키워서 번데기 단계에 이르게 된다. 여왕개미의 첫 번째 일개미들이 우화(번데기에서 성충이 되는 과정)된 뒤에는 75~125개의 알을 더 낳는다. 나중에는 ... ...
[Issue] 예년 보다 더운 여름, 모기 잘 물리는 동네는?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약간 심할 것으로 전망했다.또한 모기는 한살이 대부분을 물에서 보낸다. 특히 모기의
애벌레
인 장구벌레는 민물, 그중에서도 흐르지 않거나 고인물에서만 산다. 활동시간은 크게 밤과 낮으로 나뉘고, 종류별로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동안은 이처럼 기상요소를 중심으로 모기 연구가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줄어들것이다. 반면에
애벌레
는 자신을 먹던 쥐가 사라졌기 때문에 수가 크게늘어나고,
애벌레
가 나뭇잎을 다 갉아먹어 생태계는 곧 무너질 위험에 처한다. 생물다양성이 높은 생태계여기선 쥐가 사라져도 뱀은 개구리를 먹기 때문에 굶지 않는다.
애벌레
또한 천적인 개구리가 남아있기 때문에 ... ...
[Issue]
애벌레
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쓰이는 물질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알코올이다. 호위 교수는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
는 벌집을 먹고 살기 때문에 밀랍을 분해할 수 있다”며 “덕분에 밀랍과 화학 구조가 비슷한 폴리에틸렌 분해 능력도 획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옥수수로 타이어 제작(PM 07:00 자전거를 타고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매(媒)’가 합쳐진 한자어예요.이중 ‘닿을 촉(觸)’은 ‘뿔 각(角)’과 나비의
애벌레
를 뜻하는 ‘나라 이름 촉(蜀)’으로 이뤄졌어요.벌레의 머리에 붙은 뿔, 즉 더듬이를 뜻하는 글자지요. 더듬이가 물체에 닿으면 이를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닿는다’는 의미가 생겼어요. 여기에 ... ...
[가상인터뷰] 딱따구리도 뇌 손상을 입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부리로 구멍을 뚫는데 성공하면 가시가 달린 가늘고 긴 혀를 구멍 속에 넣어 혀끝으로
애벌레
를 끌어내서 먹는답니다. 일리: 나무를 쫄 때 머리가 아프진 않니? 딱따구리: 딱따구리가 나무줄기를 쫄 때 생기는 진동은 사람에게 뇌진탕을 일으키는 충격의 14배에 해당해요. 그동안 과학자들은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겨울에 떠나는 새 탐사! 윈터 윙즈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연구원에게 겨울새에 대해 배워 보는 시간을 가졌어요. “딱따구리는 나무를 쪼아서
애벌레
를 잡아먹고 둥지를 트는 새예요. 특히 ‘청딱따구리’는 우리가 볼 수 있는 딱따구리 중 가장 덩치가 크지요.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청딱따구리는 등이 연한 녹색을 띠고 있답니다.” 이밖에도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