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벌레
유충
번데기
에벌레
d라이브러리
"
애벌레
"(으)로 총 296건 검색되었습니다.
풀 뜯는 호랑이? 담배 문 참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따르면, 레진을 벌집에 발라 두면 미생물이 침입하지 못 한답니다. 황제나비나 불나방
애벌레
도 저희처럼 살균 작용이 있는 식물을 이용하지요.동물도 참 다양한 방법으로 몸을 보호하는군요. 새로운사실을 알았습니다. 마지막으로 하시고 싶은 말씀은?생태계를 사람 마음대로 바꾸면 동물의 치유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가지다. 즉 제초제를 뿌렸을 때 살아남을 수 있도록 단백질을 생산하는 유전자, 그리고
애벌레
같은 병해충이 먹었을 때 죽게 만드는 단백질을 생산하는 유전자를 다른 개체(주로 미생물)에서 추출해 일반 농산물에 삽입한다. MON71800은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가 이식된 밀이었다.이번 사건을 세상에 ... ...
더 넓은 세상에서 진짜 꿈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나라 학생들의 틀에 박히지 않은 창의적인 연구에 감탄한 이들도 많았다. ‘잠자리 수채(
애벌레
) 입의 구조와 움직임에 관한 탐구’를 주제로 참가한 홍성여중 2학년 이소희 양은 “닭이 좋아하는 색깔을 연구한 외국 친구들을 보고 사소한 것도 모두 과학 연구 주제라는 점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 ...
PART 3. 진실 혹은 거짓, 진짜 연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애벌레
를 굼벵이라고 하는데, 현재까지 발견된 풍뎅이과 곤충 중에서 흰점박이 꽃무지
애벌레
만이 등으로 기어 다니거든.동의보감에 따르면 굼벵이는 간 기능을 강화하는 데 좋은 약재라고 해. 간은 몸에 들어온 독소를 분해하고 내보내는 아주 중요한 기관이지. 예를 들면 술을 마셔 알코올이 몸에 ... ...
‘킬 빌’ 닮은 말벌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2종이다.기생 말벌은 다른 곤충의 알이나 번데기에 알을 낳는다.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
는 천천히 숙주를 파먹으며 성장한 뒤, 성충이 되면 빈 껍데기만 남은 숙주를 뚫고 나온다. 다른 곤충에 기생하지만 이를 통해 곤충 개체수를 조절하는 데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기생충보다는 포식기생자라고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인류는 사자와 경쟁하며 초식동물을 먹기 시작했다.초식동물의 몸에 있던 사자 기생충의
애벌레
도 자연히 사람에게 들어가기를 반복했다. 물론 야생동물의 기생충이 아무리 사람에게 들어간다 하더라도 곧바로 사람에게 감염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아프리카의 친척 인류는 계속해서 초식동물을 ... ...
‘엄마 손은 약손’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있는 단백질 NOMPC를 발견했다.
애벌레
의 수상돌기에서 NOMPC를 떼어내고 자극을 줬더니
애벌레
는 아무런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NOMPC를 이식하고 자극을 주자 인지하는 반응을 보였다. 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부드러운 촉각을 지각하는 필수 물질을 찾아낸 것이다. 촉각은 시각, 5감 중에서 신경전달 ... ...
초파리
애벌레
가 찾아낸 촉각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바람에 마구 웃음이 나오고 있거든요. 마치 엄마의 손길과 같은 느낌이에요~.초파리
애벌레
가 촉각을 느낀다니 대단한걸!제 몸 안에 부드럽게 만지거나 쓰다듬는 감각을 느끼는 단백질 ‘NOMPC’가 있기 때문이에요. 동물의 신경세포에는 다른 신경세포가 보내는 전기 신호를 받아서 전달하는 ... ...
쇠똥구리가 쇠똥을 굴리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필요가 없어요. 똥구슬은 알을 낳아
애벌레
를 키울 수 있는 따뜻한 요람이기도 해요.
애벌레
가 태어났을 때 맛있는 먹이를 바로 먹을 수 있거든요. 우린 거리를 깨끗하게 청소하는 역할도 하죠. 만약 우리가 똥을 굴리지 않았다면 옛날시골길에는 길마다 똥들이 잔뜩 널려 있었을 거예요!조금씩 ... ...
벌도~ 사람도~ 벌벌 떠는 포식자 말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독 성분도 가졌지요. 또 우리는 특이하게 생긴 집을 짓고 살아요. 대개 벌집은
애벌레
방이 바깥에서 보일 정도로 노출되어 있어요. 그래서 육각형 모양의 방마다 꽃가루와 꿀이 알록달록 채워져 있죠. 하지만 우리는 공처럼 둥글고 바깥에서 안쪽이 잘 보이지 않는 집을 지어요. 대가족일 경우에는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