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d라이브러리
"
다만
"(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잘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리브레츠트 교수팀은 이유를 알아내지는 못했다.
다만
온도가 그보다 내려가면 역고드름이 성장하기 전에 얼음기둥의 구멍이 막혀 버리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간의 연구에 따르면 냉장고 냉동실에 넣은 아이스크림이 너무 딱딱해질 정도면 역고드름이 ... ...
정신적 에너지 보충하는 행위 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토대로 미래의 일들을 어느 정도 미리 유추해 보는 과정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다만
이와 같은 정보가 무의식의 세계에 들어 있는지라 우린 꿈을 통해서 그런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융은 실제로 자신이 상담한 독일인 환자들이 얘기한 꿈에 입각해서 “금발의 야수가 지하의 감옥에서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덮고 있는 지형인데, 이산화탄소를 사암층에 주입해 셰일층이 가둬두는 게 가능하다.
다만
유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보가 부족하고 시추시설이 없어 매장하는 데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 마지막 후보지는 채굴성이 떨어지는 석탄층이다. 이산화탄소는 석탄의 표면에 흡수돼 장기간 안전하게 ... ...
서울대 논술 어떻게 대비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추론 과정을 대체하기도 한다. 물론 분석이나 추론 능력을 대신한다는 뜻은 아니다.
다만
어떠한 논제에 등장한 소재를 사전에 배경지식의 형태로 접했다면 추론하기 위한 고민의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배경지식의 맹점도 있다. 서울대 모의 논술고사와 정시 논술고사 모두에서, ... ...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신체의 균형과 기의 소통을 강조하는 한의학의 전통이 더 과학적인 것일 수도 있다.
다만
한의학이 서양의학의 대체의학이 아닌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과학화와 표준화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 ...
완전궁금! 올 여름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생기는 특성을 갖고 있어서, 겨우 몇 시간 전에야 정확한예측이 가능하거든요.
다만
집중호우가 특히 잘 생기는 곳을 미리 짐작해 볼 수는 있어요. 바로 산이 있는 지역! 수증기를 잔뜩 머금은 공기가 움직이다가 산을 만나면 산을 타고 위로 올라가서 비구름이 되거든요. 실제로 지난 100년 동안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같은 물리적 성질도 똑같다. 따라서 이런 특징을 측정해도 둘을 구분할 수가 없다.
다만
편광이라는 특수한 빛에 대해 반응하는 성질은 반대인데, 이를 광학활성(optical activity)이라고 부른다. 거울분자를 광학이성질체라고도 부르는 이유다.광학활성이란 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 즉 편광이 ... ...
볼펜 한 자루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문지를 때 생기는 마찰열에 색소분자가 화학반응을 일으켜 색이 사라지는 원리다.
다만
지워지는 볼펜은 색이 흐릿한 게 단점이다.검은 종이처럼 바탕색이 어두운 경우 보통 볼펜으로 글씨를 쓰면 알아볼 수 없다. 용액에 색소분자가 녹아 있는 잉크를 쓰는 보통 볼펜은 투명도가 높기 때문에 빛이 ... ...
초고층 빌딩엔 초고속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여러 겹의 강철을 꼰 선을 섬유 소재의 심 주위로 칭칭 감아 로프를 만들기 때문이다.
다만
초고속 엘리베이터는 일반 엘리베이터에 비해 로프와 카의 무게가 더 무겁다. 버즈두바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는 로프 무게만 20t이다. 물론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은 로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도 꾸준히 ... ...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일이 벌어지는 걸까. 아쉽게도 아직까지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보통 사람들은 물체가 클수록 더 무거울 것이라고 생각해 큰 물체를 들 때 애초에 어깨에 힘을 더 주기 때문이라 예상할 뿐이다. 실제로 실험을 통해서 사람들은 작은 것보다 큰 것을 들 때 애초부터 더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