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만"(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노응용시스템공학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물리, 화학, 전기공학, 생명과학을 비롯한 다양한 전공을 가진 학생들이 올 수 있다. 다만 융합 공학이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 흥미를 갖고 다양한 과목들을 익혀두는 게 좋다. 자기전공을 확실히 하고 미래지향적인 타 분야에 대한 관심과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갖춘 사람이 유리하다.6. 졸업 후 ...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과학동아 l2010년 05호
- 공해가 없는 원자재를 사용하는 데다 에너지원의 잠재적 크기도 태양광 다음으로 높다. 다만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발전 지역이 일조량이 아주 높아야 한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지열발전소는 지하 시추 기술이 발전할 경우 강력한 후보로 거론된다. 하지만 건설 과정에서 온실가스 ...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한 그룹에서 비호감이라고 선택한 사진도 다른 그룹에서 호감으로 선택할 수가 있다.다만 우리 뇌는 얼굴 중에서도 눈에서 정보를 많이 얻기 때문에 눈의 모양이 인상을 좌우하기도 한다. 눈의 가로를 100이라고 했을 때 한국인 눈의 세로 길이는 최대 36이다. 이 숫자가 크면 클수록 눈이 동그랗고 ...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건 아닐까? 아니면 미국 뉴스회사가 실수를 한 것일까?사실 어느 쪽도 잘못한 것이 없다. 다만 버터 씨가 온도 체계를 착각했을 뿐이다. 섭씨온도를 쓰는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은 화씨온도를 쓰기 때문이다.화씨온도는 섭씨온도보다 먼저 개발됐다. 1724년 독일의 물리학자 파렌하이트는 소금과 ... ...
- 거꾸로 생각하는 방정식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처음 예상이 틀리면 다시 예상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답을 찾는 것이지요. 다만 문제의 수가 크고 복잡하면 예상과 확인을 많이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이 전략을 잘못 쓰면 주먹구구식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보다 형식화된 방법이 방정식입니다. 처음부터 모르는 ... ...
- 나만의 발명 어떻게 지킬까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설명하듯이 편한 말로 풀어써도 되고, 발명 설명서에 정리된 내용을 붙여 넣어도 된다. 다만 그 내용이 자세하고 풍부할수록 나중에 정식으로 출원할 때 유리하다. 요약은 간략하게 적어도 괜찮다. 명세서 작성을 모두 마치면 ‘Alt+C’ 또는 ‘[도구]-[XML변환]’을 선택해 HLZ파일을 생성한다. 5 ...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있는 GMO에 대해서는 ‘GM 표시제’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다만 ‘철저한 이력 추적이 가능한 경우’, 또 ‘가격 차이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경우’라는 단서를 달았다. 그는 “일본을 포함해 일부 국가에서 도입된 GM 표시제의 경우 극히 제한적이고 가격 차이가 ... ...
- “수시 80% 확대… 창의적인 인재 선발할 것”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무척 크다. 논술의 최저점과 최고점의 차이가 얼마나 나는가?점수는 공개할 수 없다. 다만 논술로 인해 당락이 많이 바뀐다고 말할 수 있다. 논술 점수를 반영하기 전 수험생들의 순위와, 논술 점수를 반영한 후의 순위가 평균적으로 30~40%, 많게는 50% 정도 바뀐다.이과 학생들 대부분이 의학 계열을 ... ...
- 빗자루 타고 하늘로 슝~!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지구만 중력이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모든 물체가 중력을 가지고 있어요. 다만 질량이 큰 물체의 중력 이 훨씬 더 커서 작은 중력을 느끼지 못하는 것뿐이지요.특히 지구나 태양, 달과 같이 질량이 아주 큰 천체들은 강력한 중력을 발휘해요. 지구에서 아주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달이 ...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과학동아 l2010년 04호
- 과학자에게도 흥미로운 주제다. 하지만 아직까지 확실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고있다. 다만 진화의 방향성을 놓고 보면 몸집이 커지는 쪽이 당연하다는 것이 공통적인 결론이다.미국 프린스턴대의 진화생물학자인 존 타일러 보너 교수는 자신이 쓴‘크기의 과학’에서“지구 역사상 유기체 크기의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