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d라이브러리
"
다만
"(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지막 날 현실과 통하는 문, 클라인 병 건물로!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없는 한 면으로 된 도형이라는 것과 비슷해. 뫼비우스 띠처럼 클라인 병도 면이 하나야.
다만
뫼비우스 띠가 3차원 도형이라면 클라인 병은 4차원 도형이지. 4차원 도형이 어떻게 존재하냐고? 클라인 병 이야기를 들어 볼래?”3차원 공간은 답답해!“4차원 도형인 클라인 병에게 3차원 공간은 비좁았어. ... ...
“여기는 아라온호, 남극 대륙이 눈앞에 보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조리장의 음식 솜씨가 훌륭해 모두들 만족해하고 있다. 떡볶이 같은 특식도 나온다.
다만
국가적 관심사인 이번 항해를 꼭 성공시켜야 한다는 책임감이 무거울 뿐이다.”●남극 대륙에는 어떻게 진입하나.“케이프벅스까지는 긴 얼음벨트가 형성돼 있다. 그중에서 균열이 난 곳이 있는데, 그곳이 ... ...
태양보다 200배 큰 별 폭발 장면 잡았다 !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따른 운명과 초신성 폭발 별은 질량에 따라 운명이 달라진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다만
별의 진화는 여전히 정확하게 이해되지 않은 부분이 많고, 별의 질량뿐 아니라 금속비율에 따라 운명이 달라진다. 따라서 별의 진화 경로를 구분하는 별의 질량 수치는 대략적인 값을 뜻한다. 태양질량의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이번 폭설과 한파는 지구가 일시적으로 온도를 낮추기 위해 일으킨 현상일 수도 있다.
다만
그 표현 방식이 너무 거대하고 갑작스럽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줄이자는 의견을 하나로 모으는 데만 십수 년이 걸리는 이기적인 인간들의 행태를 볼 때 지금의 이상기후는 우려스럽기만 하다 ... ...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관련돼 있다. 또 창조적인 생각이 일어나려면 이런 상태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이런 기능들은 청소년기가 지나야 나타나며 뇌영상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최근에는 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인 알츠하이머병이나 자폐증, 정신분열증 등의 뇌질환에서 내정 상태 회로의 활성이 저하돼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발달하기는 힘들었을 것 같습니다.“수를 일컫는 말은 아주 오래 전부터 사용했습니다.
다만
숫자를 표현할 문자가 문제였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아라비아 숫자가 들어오기 전까지 중국의 한자를 이용했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도 양반의 전유물이었고, 일반 서민은 간단한 도구를 사용해서 수를 ... ...
[인터뷰] 최초의 여자 대통령을 꿈꾸는 수학 영재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거야. 가을 학생은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물어 봤어.“대회마다 준비를 하지는 않아요.
다만
창의사고력 문제를 많이 풀어 보죠. 경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서는 창의사고력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하거든요.”성낙중 선생님의 권유로 국제수학검정협회에서 보는 자격시험에 응시한 ... ...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동원해 호랑이를 사냥했다.한국호랑이가 살아 있다고?한국호랑이는 잘 살아 있다.
다만
한국에 없을 뿐!2005년 야생동물 보존협회(WCS)의 조사 결과, 러시아 극동 지방에 400~500마리의 시베리아호랑이가 살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바로 이 시베리아호랑이가 한국호랑이와 같은 아종이다. 이에 야생동물 ... ...
밤에 더 빛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발견된 지는 100년이 넘었지만 이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다만
영하 134℃에 가까운 대기 중간층(고도 80km 부근)의 온도가 야광운의 생성을 결정하며 이때 가장 중요한 요소가 수증기라는 사실 정도가 파악됐다. 적도 부근의 열을 고위도로 밀어 올리는 편서풍파동 ... ...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천원술이라는 단어에서 원(元)은 오늘날 방정식에서 사용되는 미지수를 가리킨다.
다만
천원술은 오늘날의 대수방정식과 달리 산대라는 계산도구를 사용해서 문제를 풀었다. 그래서 천원술을 ‘기구적 대수학’이라고 불린다.흔히 문(文)을 숭상하던 조선시대에는 수학이 잡학으로 분류돼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