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능×IQ 지능은 어떻게 측정할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및 양서류 백과’를 보면, 존 필립스 미국 샌디에이고동물학회(현 샌디에이고동물원) 박사팀이 1999년 길이 2m의 거대한 아프리카산 바위왕도마뱀을 방에 가두고, 달팽이 네 마리를 모두 찾아서 잡아먹으면 방문을 열어 다음 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실험을 설계한 사례가 있다.바위왕도마뱀이 이런 ... ...
- 나는 입이 없다 그리고 나는 비명을 질러야 한다 vs. 아이, 로봇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데 성공합니다. 비키가 파괴되면서 폭주하던 로봇들도 다시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래닝 박사가 써니에게 자신을 죽이라고 명령함으로써 자살했다는 사실도 드러납니다. 하지만 진실을 알고도 스푸너는 써니가 자유롭게 가도록 해줍니다. 인공지능은 인간에게 반란을 일으킬까? 반란보다는 ... ...
- 과학의 불꽃으로 지구를 구하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미역, 다시마 등의 세포벽을 이루는 식물성 원료인 알긴산을 이용해 자체 제작했다.차박사 아들딸 팀의 이인우 양(충북과학고 3학년)은 “이미 발생한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미세플라스틱 발생 자체를 근본적으로 막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경제적이면서도 빠른 실용화가 ... ...
- [수학동아10주년 특별인터뷰] 오성진 UC버클리 수학과 교수, 수학실력은 지수함수처럼!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대적할 사람이 몇 없는 2016년 필즈상 수상자 테렌스 타오도 재능만 믿고 자신만만하다가 박사 자격 시험에서 거의 떨어질 뻔했고, 이후 열심히 수학에 정진했다는 일화를 자신의 블로그에 올렸었죠.아무리 재능 있는 사람도 평범한 사람이 오랜 시간 붙들고 익힌 것을 노력 없이 금방 얻지 못해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미세먼지 측정기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배터리를 이용해 어디서든 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답니다. 기자단 친구들은 섭섭박사님과 함께 차근차근 미세먼지 측정기를 만들었어요. 전선을 이용해 아두이노와 브레드보드를 연결하고 미세먼지 측정기와 아두이노를 연결할 때는 드라이버로 나사도 열심히 조였답니다. 전선과 부품이 ... ...
- [실전!반려동물] 잠만 자는 고슴도치, 깨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사는 고슴도치의 수는 시골의 9배에 달한답니다. 독일 함부르크대학교 리사 바르네크 박사는 도시와 시골 고슴도치에 각각 송신기를 달아 활동 영역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도시 고슴도치의 활동 영역은 5만㎡ 로, 시골 고슴도치의 18분의 1이었어요. 시골 고슴도치는 곤충과 달팽이, 거미, 도마뱀 ... ...
-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대에서 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낸 뒤 서강대 화학과 교수로 부임해 34년간 재직하며 국내 과학커뮤니케이션 분야를 개척했다. ‘거의 모든 것의 역사’를 비롯한 다수의 과학 교양서를 번역했고, ‘이덕환의 과학세상’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암석에 새겨진 한반도 지각의 역사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예측하게 될 날을 기대해 보겠습니다. 이승환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암석학연구실 박사과정 연구원이다. 암석학을 전공하고 있으며, 현재 백악기 퇴적분지인 진안분지에 나타나는 암석과 신생대 백두산 화산암의 형성 과정 및 마그마의 기원을 연구하고 있다. leseha2002@naver ... ...
- [수학미술관] 인공지능 화가 '오비어스' 그림은 컴퓨터로, 서명은 수학식으로!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이유가 있습니다. 이 그림을 그린 오비어스는 AI 화가입니다. 오비어스는 기계학습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휴고 카셀 듀레를 비롯한 세 명의 연구원이 주축인 단체입니다. 오비어스는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이라는 딥러닝 알고리듬을 이용해 AI 화가를 개발했습니다. 그리고 이 AI 화가에 14~20세기 ... ...
- 개와 고양이의 눈빛에 '심쿵' · · ·비밀은 눈 근육에 있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산책을 가자는 듯한 눈빛을 보낸다. 줄리아나 카민스키 영국 포츠머스대 심리학과 박사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개가 사람과 친밀하게 소통하기 위해 눈 근육을 발달시켰다는 연구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1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73/pnas.1820653116 연구팀은 고대 늑대로부터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