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인간의 척추는 왜 이런 모양?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진화했다고 설명했다. 논문 제1저자인 카트리나 존스 하버드대 유기체및진화생물학과
박사
후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 몸은 어떻게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됐을까’라는 오래된 질문에 답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7일자에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두고 저와 친하게 지냈던 헬가 팀코
박사
와 대화한 시간도 무척 재미있었습니다. 전 팀코
박사
를 포함해 여러 과학자들과 대화를 나누며 영감을 받아 아르고스와 임펄스를 구상했어요.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LHC 앞에서, 우주에서 날아온 입자를 검출하고 이것이 지구에 파장을 ... ...
[섭섭
박사
실험실] 데굴데굴 물방울 구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물방울 구슬’이지요. 그런데 얼마 전…. “해냈다! 물방울 구슬을 만들었어!” 섭섭
박사
님은 대체 어떻게 물방울 구슬을 만든 걸까요? 어떻게 된 걸까?☞결과 : 물방울이 게임판 위에서 구슬처럼 굴러다닌다.코팅제가 발린 표면은 물에 전혀 젖지 않아요. 이렇게 물과 결합하지 않고 물을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그러던 2006년 미국 하버드대 의대 매사추세츠종합병원 연구원이던 레이 호치버그
박사
팀이 척수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진행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nature04970연구팀은 2001년에 신경 손상을 입은 25세 남성과 1999년에 신경이 손상된 55세 남성 등 ... ...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과학동아천문대와 왜소은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지웅배 연세대학교 은하진화연구센터
박사
과정 연구원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제가 알기로 왜소은하와 관련한 세계 최초의 시민과학프로젝트예요.왜소은하 프로젝트는 천체 사진을 하나씩 분석하면서 왜소은하를 찾아야 하는 천문학자들에게 큰 ... ...
[과학뉴스] 화성 분화구 속에 ‘염분 호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서턴섬은 약 37억~33억 년 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약 150m 높이의 퇴적층이다.라핀
박사
후연구원은 “이번에 발견된 황산염은 퇴적물과 함께 섞인 형태”라며 “민물호수가 아닌 소금기가 있던 얕은 호수가 증발해 형성됐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 ...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지닌 우주배경복사가 우주에 고르게 퍼져 있는지 관측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당시
박사
과정 연구원이었던 피블스에게 이런 빛이 관측될 경우와 안 될 경우에 대한 우주론적 의미를 연구하게 했다. 한편 그 시기 프린스턴대에서 불과 50k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벨연구소의 아르노 펜지아스와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짧은 등 태양계 행성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볼시찬
박사
는 최초의 외계행성이자 펄서 행성을 관측한 인물임은 확실하지만, 안타깝게도 노벨상의 선택은 받지 못했다. 김승리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의 외계행성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질병 진단의 패러다임 전환 스마트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발전하길 기대합니다. 박영근연세대 신소재공학과 웨어러블융합전자연구실
박사
과정 연구원이다. 다양한 소재들의 고해상도 3차원(3D) 프린팅을 이용해 신체 표면에 붙이거나 신체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개발하고 있다. younggeun@wearablelab ... ...
프랑켄슈타인 가능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조각을 조립한 다음 전기자극을 주자 살아났지. 불가능한 일이라고? 최근 프랑켄슈타인
박사
가 화제가 됐다는데…. 돼지의 뇌세포가 죽었다가 살아났다?!4월 18일, 미국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네나드 세스탄 교수팀은 죽은 지 4시간이 지난 돼지의 뇌세포를 6시간 동안 살렸다고 발표했어요. 교수팀은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