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지닌 우주배경복사가 우주에 고르게 퍼져 있는지 관측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당시 박사과정 연구원이었던 피블스에게 이런 빛이 관측될 경우와 안 될 경우에 대한 우주론적 의미를 연구하게 했다. 한편 그 시기 프린스턴대에서 불과 50k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벨연구소의 아르노 펜지아스와 ...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짧은 등 태양계 행성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볼시찬 박사는 최초의 외계행성이자 펄서 행성을 관측한 인물임은 확실하지만, 안타깝게도 노벨상의 선택은 받지 못했다. 김승리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의 외계행성 ...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가진 큐비트 수가 비슷했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NASA의 응용수학자인 엘리노어 리에펠 박사가 홈페이지에 게재했다가 내린 논문 형식의 글에 따르면, 시커모어는 총 54개의 큐비트 구성으로 설계됐습니다. 이 중 큐비트 1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결과적으로는 53개의 큐비트를 제어했고, ... ...
- 40년 유인 우주 비행 역사의 산증인 두미트루 도린 프루나리우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다녀왔다. KAIST에서 기계공학 학사 및 석사학위를 마치고, 동대학 바이오시스템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공학도 출신이다. 현재는 미국 실리콘밸리 우주 관련 스타트업 로프트 오비탈(Loft Orbital)에서 전략기획 및 국제협력 담당으로, 미국 워싱턴대 공대에서 자문위원 및 겸직교수로 일하고 있다. ... ...
- 더 강하게 돌아왔다, 터미네이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2030년대에는 터미네이터 Rev-9같은 무시무시한 로봇을 볼 수 있을까? 이에 대해 보이어 박사는 “터미네이터와 같이 무시무시한 로봇은 개발되지 않을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했다. 이에 덧붙여 “현재는 자기 복제 로봇이 농업에만 쓰이고 있지만, 기술이 개발돼 가격이 더 내려가면 더 많은 ...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리튬이온전지는 충전이 가능하고 작은 부피에 에너지를 고밀도로 저장할 수 있어 휴대전화 같은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차의 배터리로도 쓰인다. 리튬이온전지의 개발은 무 ... 진행하고 있다. 2006~2010년 존 구디너프 미국 텍사스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 ...
- [수학뉴스] 해변에서 ‘뫼비우스 띠’ 떠올린 뫼비우스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천재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에게 천문학을 배웠습니다. 독일 할레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밟으면서는 수학 연구에 집중해 기하학과 정수론 분야에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합니다. 실제로 뫼비우스의 띠뿐 아니라 ‘뫼비우스 변환’, ‘뫼비우스 함수’, ‘뫼비우스 반전 공식’ 등 그의 ... ...
- 좀비가 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식물의 잎사귀나 줄기에 올라갔어요. 그러다 밤이 돼서야 생을 마감했지요. 2011년 휴즈 박사 연구팀이 42마리의 좀비 개미를 분석한 결과, 이들이 ‘오피오코르디셉스’라는 곰팡이에게 조종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어요. 그리고 2017년에는 좀비가 된 개미 조직을 수천 개의 조각으로 나눠 ... ...
- [실전!반려동물] 우리 새가 달라졌어요 : 편식 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과일 나무의 가지가 가장 적당하답니다. 최영민 수의사. 건국대학교에서 수의학 박사를 받았으며, 최영민동물의료센터를 운영 중이다. 서울시수의사회 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TV 동물농장’ 프로그램의 자문을 맡고 있다 ...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중성자의 평균수명 측정이 기다려지는 이유다. 박인규 프랑스 파리-수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서울시립대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입자와 전산물리에 대한 주제를 연구 중이며, 최근에는 한국물리학회 제28대 홍보잡지 편집위원으로 물리학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높이는 데도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