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육 로봇은 어떻게 어린이와 친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이를 토대로 대화의 맥락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반응을 한답니다. ●정 : 박사님은 어떤 로봇을 만드셨나요?●박 : 어린이를 위한 영어 교육 로봇 ‘테가’예요. 테가와 대화를 하면서 어린이가 즐겁게 영어를 배울 수 있지요. 테가를 본격적으로 만들기 전, 디자인 단계에서는 애니메이션 ... ...
- 로봇과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감정과 고통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별 생각 없이 하는 행동이지요. 하지만 박혜원 박사님은 “로봇에게 폭력을 가하는 것과 사람에게 폭력을 가하는 것에는 강한 연관성이 있다”고 말했어요. 사람이 폭력에 익숙해지는 것이 문제라는 거죠. 올바른 로봇 사용 교육에 대해 고민했던 네이버랩스의 ...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성능이 훨씬 업그레이드 됐다. 1960년대 초반 미국 세티 연구소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는 웨스트버지니아주의 그린뱅크 전파천문대의 지름 26m짜리 안테나를 이용해 고래자리 타우 별과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별을 탐색했다. 당연히 수 광년 떨어진 항성 두 개를 조사하는 것으로 외계생명체의 ... ...
- [화보] 세포vs 병원체 몸속 슈퍼히어로의 전투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들면서 생물학의 큰 범주와 제 연구를 연결시켜 보려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어요. 박사학위를 받고 연구원 생활을 할 때였죠. 덕분에 그림을 그리기 위해 정보를 모으고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제 연구를 세포 전체적인 시각에서 볼 수 있게 됐어요. Q어떤 과정을 거쳐서 그림을 그리나요?우선 ... ...
- 상어가족, 백상아리만 있는 게 아니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알려져 있었다. 그러다 2012년 호주 서호주대학교 동물생물학부 바바라 위링어 박사 연구팀이 톱상어가 톱처럼 생긴 주둥이를 휘둘러 먹잇감을 두 동강 내는 장면을 목격했다. 연구팀이 죽은 송어를 먹이로 주자, 톱상어는 주둥이로 송어의 측면을 빠르게 후려쳐 주둥이에 난 이빨로 찔렀다. 가장 ... ...
- 포켓몬 몸집의 물리학 피카츄는 뚱뚱할까, 날씬할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사람처럼 키가 클수록 날씬해 보인다. 글. 김범준서울대 물리학과에서 이학박사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에 재직 중이다. 한국복잡계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저서 ‘세상물정의 물리학’으로 제56회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했다. 언론 매체에 칼럼을 연재하는 등 물리학의 대중화를 위해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국제우주정거장의 첫 일본인 선장 와카타 고이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다녀왔다. KAIST에서 기계공학 학사 및 석사학위를 마치고, 동대학 바이오시스템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공학도 출신이다. 현재는 미국 실리콘밸리 우주 관련 스타트업 로프트 오비탈(Loft Orbital)에서 전략기획 및 국제협력 담당으로, 미국 워싱턴대 공대에서 자문위원 및 겸직교수로 일하고 있다. ... ...
- 안혜연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소장, SW 업계에서 성장 원동력은?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매우 넓으니 직접 경험해 보고 본인에게 맞는 분야를 찾아야 해요. 저도 무선 네트워크로 박사 학위를 받고 보안 분야를 다룰 줄은 꿈에도 몰랐어요. 일단 지금은 당장 구체적으로 무엇을 전공한다고 생각하지 말고 꾸준히 SW에 관심을 가지세요. 구글과 네이버의 차이는 무엇인지, 스트리밍 ... ...
- 하마 똥, 생태계 규소 순환 핵심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역할을 하는 셈이다.논문의 제1저자인 조나스 쇼엘린크 벨기에 앤트워프대 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최근 수십 년 동안 아프리카 하마의 90%가 멸종했다”며 “규소의 운반자인 하마의 개체 수가 감소하면 다른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doi:10.1126/sciadv.aav039 ... ...
-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DNA 조각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산업체가 바로 응용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베너 박사도 “이번 연구 결과는 DNA 데이터 저장 분야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하다”며 “앞으로 5쌍, 6쌍까지 염기쌍을 계속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