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우리 은하에 영화 에 등장하는 광선검을 닮은 천체가 있습니다. 그 주인공은 바로 ‘허빅-아로24(HH24)’입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허블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한 이 천체는 지구에서 약 1350광년 떨어진 오리온자리 중심에 있습니다. 이곳은 별이 탄생하는 지역이지요.HH24 천체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원격수업에도 규칙이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미디어는 어떻게 변하고, 변해야 할까요?미래의 소셜 미디어는 우리가 생각하는 미래, 바로 그것이라고 생각해요.먼저 제 생각은 소셜미디어를 가상의 화면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해요! 예를 들면, 렌즈를 끼고 그 가상공간을 만나는 거죠. 또, 미래의 소셜미디어는 지금보다 조금 더 좋은 기능이 ... ...
- [가상 인터뷰] 누리호, 드디어 하늘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분리 등 매우 어려운 기술적 난관을 돌파했기 때문이야.원래 첫 우주 발사체 발사 도전이 바로 성공하기는 힘들어. 지금까지 우주 발사체를 만든 11개 나라 중 소련, 프랑스, 이스라엘 등 세 나라만 첫 발사에 성공했지. 잘됐구나! 앞으로는 어떻게 할 계획이야?한국항공우주연구원 측은 누리호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젤리를 쏟아붓는 섭섭박사님! 이렇게 하면 더욱 큰 젤리를 먹을 수 있다는데…. 비밀은 바로 ‘삼투 현상’! 삼투 현상 때문에 그릇에 있던 물이 전부 젤리 속으로 들어간 것이죠. 그렇다면 설탕물이나 소금물에 젤리를 담그면 어떻게 될까요? 궁금하면 옆에 있는 QR코드를 찍어 보세요! ●영상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있다고 호언장담했어요. 섭섭박사님은 도대체 어떤 원리를 이용하려는 걸까요? 비밀은 바로 레몬 껍질 속에 들어 있는 ‘리모넨’이에요. 이 화학 물질이 풍선의 고무를 녹여 구멍을 만들 거라는 섭섭박사님의 계획이었죠. 과연 섭섭박사님은 이 마술같은 실험에 성공할 수 있었을까요? 결과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무지개의 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수 있습니다.목성의 표면을 관찰하다 보면 또 한 가지 눈에 띄는 점을 찾아낼 수 있어요. 바로 붉고 커다란 ‘대적점’이지요. 지구보다 커다란 대적점은 17세기에 이미 관찰됐을 정도로 유명한 목성의 특징이랍니다. 하지만 대적점의 비밀이 밝혀진 건 우주 탐사선들이 목성을 지나가면서부터예요.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돌고 있어요. 이 태양계 행성은 물리적 특성에 따라 크게 두 분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로 수소나 헬륨 같은 가스(기체)의 형태를 주성분으로 하는 목성형 행성과 딱딱한 암석과 금속처럼 비휘발성 물질이 주성분을 이루는 지구형 행성이에요.목성형 행성은 주성분이 가스로 되어 있어 밀도가 ... ...
- [이달의 과학사] 1880년 11월 1일 대륙이동설을 주장한 알프레트 베게너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비슷하게 생겼어요.그렇지만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은 쉽사리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바로 대륙을 움직이게 만드는 힘이 무엇인지 설명하지 못한다는 치명적인 결점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대륙이동설이 발표되고 거의 40년이 지난 1950년대가 되어서야 증거가 쌓이기 시작합니다. 결정적인 증거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슬기로운 디지털 발자국 관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화면은 어떤 친구의 유튜브 첫 화면입니다. 잘 보면 여기에도 발자국이 찍혀 있답니다. 바로 디지털 발자국이죠. 유튜브 첫 화면을 보면 이 친구가 어떤 영상을 주로 보는지, 어떤 주제에 관심이 있는지 추측할 수 있답니다. 유튜브 첫 화면에 애니메이션과 우리 어과동에서 만든 모스글라이더를 ... ...
- [가상 인터뷰] 이족 보행 로봇에 날개가 있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다른 이족 보행 로봇과는 달리 팔 부분에 마치 드론처럼 프로펠러 추진기가 달려있어. 바로 이 추진기를 이용해 균형을 쉽게 잡을 수 있는 거야. 평지를 걸어갈 때는 물론이고, 강한 바람이 불거나, 나를 막대기로 밀어 넘어뜨리려 해도 추진기 덕분에 쉽게 균형을 잡을 수 있어. 이뿐만 아니라 보행이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