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타의 위치를 추적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시간 중에서 각 도시 사이를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빼요. 그리고 남은 시간이 바로 산타가 8개 도시에 머무는 총 시간이 되지요. 썰매가 각 도시를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도시와 도시 사이의 거리와 썰매의 속도를 알면 구할 수 있답니다.이제 각 도시의 인구수에 따라 각 도시에 머무는 ... ...
- 삼다수 나라의 세금 내는 아이들을 만나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맡은 옥효진 선생님과 함께 학급의 모든 어린이가 나라를 운영하지요. 이 나라의 이름은 바로 ‘삼다수’! 삼다수의 어린이들은 직업을 갖고 돈을 벌어요. 돈을 버는 만큼 세금도 내지요. 그럼 삼다수 나라에 대해 먼저 알아볼까요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우리가 최고의 댄싱팀! 찌르레기 춤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많은 새는 전 세계에 약 17억 마리가 사는 것으로 추정된 참새였어. 두 번째로 많은 새가 바로 나! 약 13억 마리가 사는 것으로 조사된 흰점찌르레기였어. 한국에서는 쉽게 볼 수 없지만 유럽에서는 무척 흔한 새야. 유럽에 터를 잡고 살던 나는 1981년에 미국 땅으로 건너가게 됐어. 미국 뉴욕의 ... ...
- [특집] 물폭탄의 원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많이 품고 있었다고 해도, 한 달 동안 내릴 비를 3일 만에 내린 이유는 또 있어요. 바로 우크라이나부터 발트해까지 발달한 고기압 때문이에요. 이 고기압은 베른트 저기압의 이동을 방해해 오랜 시간 중부 유럽에 머물게 했어요. 그래서 많은 비가 쏟아진 거죠.한편, 독일, 영국 등 서유럽뿐 아니라 ... ...
- [만랩! 디지털 리터러시] 악성 온라인 범죄, 멈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언어폭력 멈춰! 온라인에서 무심코 다른 사람에게 큰 상처를 주는 것 중 대표적인 것은 바로 언어폭력이에요. 자칫 오해를 일으키거나 불편함을 줄 수 있어서 언어를 사용할 땐 신중하고 세심해야 해요. 타인에 대한 욕설, 유언비어, 명예훼손이나 의미 없는 내용의 도배, 수치스럽고 지저분한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사라진 샤롱가! 어떻게 납치된 거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구체적인 지시 사항이 적혀 있었습니다. “이런···. 시간이 별로 없어요. 지금 바로 돈을 구할 수 있을까요?”딱지가 물었습니다. 매니저는 우물거리며 뭔가를 먹다가 황급히 대답했습니다. “아, 죄송해요. 긴장하면 에너지가 떨어져서 단 거를 먹는 습관이 있어서…. 갤럭시 틴즈가 인기 ... ...
- 모든 길을 한 번씩만 거쳐서 이동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6호
- 오일러는 직접 선을 따라 그려보지 않고도 간단하게 정답을 찾는 방법을 알아냈어요. 바로 각 점에 연결된 선이 2, 4, 6, 8…처럼 짝수 개인지 세어 보는 거예요. 만약 모든 점에 선이 짝수 개만큼 연결돼 있다면, 우리는 선을 한 번씩만 지나 처음 출발했던 점으로 돌아올 수 있지요.오일러의 발견은 ... ...
- [현장취재] 개구멍을 엉금엉금! 탐험의 시작백룡동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있다”고 했지요. 취재는 동굴 운영 휴무일인 월요일에 이뤄졌습니다. 그런데 바로 전주에 비가 많이 와 동굴 수위가 높아졌습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휴무일이라 물을 퍼내는 양수기가 돌아가지 않았지요. 덕분에 물웅덩이를 첨벙이며 개구멍에 도착한 취재진은 카메라 및 조명 장비가 젖지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어떻게 자라나요?이예서(elika12) 손가락의 끄트머리에는 단단한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손톱입니다. 손톱은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표피의 세포가 ‘각질화’된 것을 말해요. 피부가 일종의 각질이 되는 과정인데, ‘케라틴’이라는 단백질이 여러 층을 이뤄 단단하지요. 손톱은 손을 보호하고, 힘을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아름다운 석회동굴은 지하수가 깎아 만든 작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곳의 경계를 ‘지하수면’이라 불러요. 땅을 파다 보면 물이 나오기 시작하는 깊이가 바로 지하수면이지요.특히 지하수가 석회암을 녹이면 땅속에 ‘공동’이 생겨요. 지하수로 채워진 공간이죠. 그런데 지각운동의 영향으로 산이 천천히 높아지거나 침식이 일어나면 지하수면의 높이가 달라질 수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